유동훈 충남연구원장

#1. 최근 ‘오픈 AI’가 만든 챗봇GPT의 능력에 세계가 놀라고 있다.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AI(인공 지능)의 출현이 머지않은 것이 아니냐는 기대감과 두려움이다. ‘생성 AI’라고 불리는 챗봇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는 그간 우리가 알고 있던 챗봇(Chatbot)과는 차원이 다르다. 필요한 정보를 검색해 질문의 맥락에 따라 인간과 같이 상세하고 논리적인 글을 만들어 제공한다. 시, 가사, 소설은 물론 논문까지 작성한다는 소문에 폭발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도 챗GPT가 작성한 신년사를 받아본 결과 그대로 써도 될 정도라며 공무원 사회에 활용을 권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챗GPT를 시험이나 과제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골치를 앓고 있다고 한다. 글을 쓰는 능력은 고도의 지적 능력에 속한다. 챗GPT가 아직은 인간의 시냅스에 해당하는 정도의 매개 변수를 갖추지는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의 발전 속도를 가늠하기 어렵다. 일런 머스크나 마이크로소프트도 ‘오픈 AI’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다. 전 세계 검색 시장의 92%를 점유하는 구글도 긴장하기는 마찬가지다. 20년간 독주해온 구글의 시대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온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챗봇GPT를 통해 10주년 책자의 서문을 작성하도록 했는데 자신이 직접 썼다고 해도 손색없는 수준의 글에 "우리가 알던 방식의 인류 역사가 끝났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 4차 혁명으로의 시대적 전환은 이미 시작되었다. 전문가보다 더 정교한 인공 지능과 함께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 준비하고 대비하는 사람이 다음 시대의 승자가 된다.

#2. 탄소 배출을 줄이는 국가 간 노력의 격차를 관세로 부과하겠다는 움직임이 빠르게 가시화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탄소 배출 산업에 탄소세를 부과하거나 기업 스스로 탄소 저감 노력을 하도록 법과 제도를 고쳐 나가고 있다. 탄소세를 부과하는 정도나 기업체 스스로 탄소를 저감하는 노력이 나라마다 다르므로 재화의 국가 간 이동 시 가격경쟁력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 격차만큼 관세를 물리겠다는 것이다. 먼 훗날의 얘기가 아니다.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는 2026년 시행을 앞두고 있다.

연세대 조하현 교수팀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 기업들이 철강, 유기화학, 플라스틱, 알루미늄, 시멘트 등을 EU에 수출할 때 5,300억 정도를 추가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 산업이 3,600억 정도로 가장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도 이와 유사한 청정경쟁법안(Clean Competition Act)이 상원에 발의되어 있다. 탄소중립과 관련한 새로운 국제경제 질서가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이런 점에서 충남이 탄소중립 경제 특별도를 선포하고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은 국가적으로도 큰 시사점이 있다.

#3. 최근 "피크차이나" 관련 뉴스가 많이 나온다. 중국의 경제 성장이 정점에 달했을 수도 있다는 분석들이다. 중국이 지난해 3%의 성장에 그친 것은 1976년 문화혁명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성장률이라고 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2020년을 제외하면 근 50년 만의 가장 낮은 수치다. 중국의 인구 또한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 인도에게 세계인구 1위 자리를 내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 제로 코로나 정책, 노동인구 축소 등으로 중국 경제가 불투명한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문제는 한국이다. 한국은 그동안 중국의 고도성장에 따른 경제 특수에 기대어 왔다. 한국은행에 의하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하면 한국은 0.15%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만큼 중국의존도가 심하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무역이 중국에 의존하는 비중은 25%, 대중국 무역 수지에서 흑자 폭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미국의 국무장관을 지낸 폼페이오는 회고록에서 김정은도 만약 한반도에 힘의 공백이 생긴다면 중국은 한국을 티벳이나 신장처럼 취급할 것이란 인식을 보였다고 한다. 중국 시장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긴 하지만 의존도를 줄이는 전략 수정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이제 충남의 산업계도 시장 다변화 전략 등에 관심을 가져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