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창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우리는 지금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경제시대로의 전환기를 맞고 있으며, 이 시대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인재 양성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산업 환경 구조 속에서 지역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사람에 대한 제대로 된 투자가 어느 때 보다 절실하다. 도시를 살리는 것이 사람이고, 기업을 비롯해 산업현장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 역시 우수한 인재이기 때문이다.

최근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제조업이 심각한 실정이다. 반도체 기술은 더 빠르고 더 안정적이면서도 전력의 소비는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끝없이 기술의 진화를 이루어 나가고 있다.

그러한 이상적인 반도체 설계를 팹리스 산업에 갓 진입한 기업인 애플이 해냈다. 많은 전문가들이 애플의 기술혁신 원동력을 2만명에 육박하는 R&D 인력에서 찾고 있다. 비단 반도체 뿐 아니라 첨단소재, 2차전지, 바이오 등 미래 선도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모두 R&D 인력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최근 삼성전자도 2027년 까지 시스템 반도체 R&D인력을 1.6만명으로 2배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인력 쟁탈에 가까운 치열한 외부영입 만으로 필요 인력을 충원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반도체 인력난으로 주요 기업들이 대학과 직접적으로 연계해 우수인재들을 선점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커리큘럼을 이수한 인력의 채용과 아울러 재직자 재교육을 통한 역량 향상에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다수 대학과 한국과학기술원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해 채용 및 직원 재교육을 실시한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이에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중소기업 계약학과’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소기업 계약학과는 대학에서 산업계의 교육 수요를 바탕으로 전문학사부터 박사까지 다양한 학위과정을 개설해 중소기업 재직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인력양성 프로그램으로 현재 전국 50개 대학에 78개의 중소기업 계약학과가 운영 중이다. 이중 대전지역에는 대전과기대, 대전대, 우송정보대, 충남대, 한밭대 까지 총 5개 대학에 7개 중소기업 계약학과가 개설돼 있다.

계약학과는 학과설치, 교육과정 수요예측과 과목 편성에서 부터 학과운영에 이르기까지 지역 중소기업이 폭넓게 참여하는 체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는 참여 기업과 학생들의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해 학과운영 예산과 함께 학생들에게 기준 등록금의 65~100%의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계약학과가 중소기업 재직자 역량강화의 취지에 맞게 운영돼 참여기업과 학생 모두에게 좋은 기회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참여기업과 대학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참여기업의 수요와 만족도에 관련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대학의 적극적인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다.

계약학과는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만학도의 학위취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산업구조 전환에 대응하고 미래유망 분야 인력양성을 하는 것이다. 실효성 있는 재직자 재교육이 필요한 지역의 우수 중소·벤처기업들과 학령인구 감소를 준비하는 지방 대학교의 니즈가 중소기업 계약학과에서 대안을 찾아, 재교육을 통한 인재양성의 산실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