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원 대전우리병원 관절센터장 정형외과 전문의

중년에 어깨 통증이 발생하면 쉽게 오십견이라고 자가진단하고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라는 생각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오십견’이라는 용어는 ‘나이가 들어 어깨가 아프다’라며 50대의 어깨를 일컫는 일본식의 표현으로 특정 질병을 지칭하는 정확한 병명이 아니다.

중년에 흔한 어깨 질환에는 ‘어깨 충돌 증후군’과 ‘어깨 힘줄 파열’이 있으며 조기에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여 어쩔 수 없이 큰 수술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이 있다.

어깨 충돌 증후군은 어깨를 올릴 때 어깨 힘줄이 견봉과 반복적으로 충돌하여 생기는 질환이다. 나이가 들수록 힘줄에도 퇴행성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충돌이 반복되면 힘줄 파열이 생기게 된다.

어깨 관절낭이 유착되는 ‘동결견’이라는 질환을 ‘오십견’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동결견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통증이 줄어들고, 운동 범위가 조금 좋아지는 것처럼 보여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나 상당한 어깨 운동 범위 제한 등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회전근개란 어깨를 둘러싸고 있는 총 4개의 힘줄로 어깨를 모든 방향으로 움직여 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힘줄이 끊어지는 질환이 바로 회전근개 파열이다. 회전근개 파열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끊어진 힘줄이 계속 말려들어가서 결국 어깨를 쓰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동결견과 회전근개 파열은 어떻게 구분할까?

쉬운 감별 방법으로는 아픈 팔의 운동 범위를 아프지 않은 팔의 운동 범위와 구별하는 것이다.

동결견은 말 그대로 어깨가 얼어 있는 것처럼 어떤 방향으로 팔을 움직여도 아프고, 어깨가 굳어져서 운동 범위가 감소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통증은 있으나 아프지 않은 팔로 도와서 올리면 어느 정도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힘줄이 파열되어 있기 때문에 반대편 팔의 도움 없이는 유지가 되지 않고 아픈 팔을 떨구게된다. 즉 동결견은 어깨가 굳어 경직되어 타인의 힘을 빌어도 움직이지 못하나,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 힘줄이 끊어져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차이가 있다.

정형외과에서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환자의 자연 치유력을 증진시키는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수술적 치료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권하고 있다.

회전근개의 파열이 아주 작거나 통증 등의 증상이 그리 심하지 않을 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와 주사요법 등으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 관절 내시경을 통해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강한 어깨 관절을 위해서는 평소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며 어깨통증이 있다면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큰 비용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완치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