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드론 기업 40% 대전 밀집
대전의 모 기업 세종 이전 준비
대전과 MOU 했지만 사업 지연
다른 드론 기업들도 고충 토로
기술 실증화 안돼 수익성 한계
‘기술력 부족’ 보완할 정책 미흡
정부청사 제약에 도심비행 어려워
전문인력 양성·부지확보 등 필요

드론특구=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드론특구=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속보>=대전에 전국 드론기업의 40%가 몰려있지만 미흡한 산업육성 정책에 기업들의 ‘탈 대전 현상’이 포착되고 있다. <19일자 1면 보도>

대전에 위치한 드론 기업들은 전문인력 양산, 일자리 창출, 우수 인프라 연계 등 드론산업 육성에 한계가 있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본보 취재 결과 지역의 한 드론기업이 세종으로 이전을 준비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기업은 대전시와의 협업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있던 와중에 모빌리티, 자율주행, 인공지능 등 총 첨단 기술들이 집합한 스마트시티 완성을 구축 중인 세종시가 해당기업에 이전을 제의한 것이다.

해당 기업 관계자는 "최근 세종시와 드론 실증사업 구축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자체 차원의 기업유치 제의가 있었다"며 "세종이 입지나 기반 등 드론산업 육성에 적극적이고 인프라가 잘 돼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현재 이전을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이렇듯 대전이 드론특구로 지정됐음에도 기업들이 대전을 떠나려는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가장 큰 문제로는 드론기술이 실증화 되지 못해 수익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꼽고 있다.

대전에 위치한 드론전문기업 A 업체는 "드론 제조·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선 드론 판매를 통한 이익 창출이 필수적이지만, 대전은 수요층을 넓히려는 작업이 부족해 시장성이 약하다"며 "아무리 소규모 실증 사업을 진행해도 실제 현장에선 실질적인 수요가 낮다보니 중앙 정부 납품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저조한 수요의 원인으로 결국 드론제조기업의 ‘부족한 기술력’ 때문인데 기업들은 기술지원정책의 미흡함을 꼬집고 있다. 이들은 드론의 핵심 부품인 FC(Flight Controller, 드론을 제어하는 비행제어장치)제조 기술력이 부족한 상태라고 호소한다. 국산 부품은 가격대비 비행성능이 떨어져 중국산 수입부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국산 드론 부품은 수요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 따라서 지자체가 교육을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기업들을 연계함으로써 산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드론기업들의 목소리다.

전국엔 전문 드론 교육기관 약 300곳이 산재하고 있지만 대전엔 겨우 2곳만 위치, 이곳마저도 교육 목적 비행장 부지 확보에 제한이 있어 일반 농지를 임대해서 쓰는 실정이다.

한 기업 관계자는 "대전은 과학도시인만큼 대덕연구단지, 카이스트 등 고급 기술 인력이 많지만 이들과 연계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길은 한계가 따른다"며 "대전 내 소형 무인 드론제조업체가 대부분 작은 기업이기에 R&D에 어려움이 있는 만큼 시가 우수인력과 공동 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기업들은 대전은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이지만, 중심지에 위치한 정부청사로 인해 반경 3㎞ 이내는 비행금지구역에 속해 비행 부지 확보면에서 타시도 대비 매력도가 떨어진다며 이러한 단점 상쇄시키기 위한 시의 적극적 행정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세연 기자 nobird@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