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엔 아령, 밤엔 핸들… 무거운 ‘인생의 무게’
지역 체육계 “코로나로 개최 못한 체육사업비 지원 촉구” 목소리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체육관 수강생이 없어서 건당 급여를 받으며 야간 택배 일을 하고 있습니다. 힘들어도 어쩌겠어요. 뭐라도 해서 가족은 굶기지 않아야죠.”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장기화로 생업이 위태로운 대전지역 체육인들이 늘고 있다. 실내 체육시설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공포감이 커지면서 운영난이 계속되자 생계유지를 위해 ‘투잡’을 뛰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까지 대덕구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던 A씨는 코로나 이후 시설 문을 닫고 새로운 일을 시작했다.

그는 “헬스장이 아파트 단지 안에 위치해 있다보니, 한창 코로나가 심할 때 주민들과 논의해 영업을 멈춘적도 있다”며 “이후에도 더 이상 운영이 어렵다고 판단해 결국 폐업을 결정했고, 현재는 스킨스쿠버와 인명구조 강사 활동을 시작해 생활고를 이어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개인야구레슨장을 운영하는 B씨 또한 “부업으로 생활인 야구 리그에서 심판을 보면서 월 50만~80만원 정도 벌었는데 코로나로 리그가 중단 및 축소되면서 한동안 수입이 없었다”며 “본업인 야구레슨장도 벌이가 시원찮아서 주·야간 가리지 않고 대리운전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아동·청소년이 주 수강층인 태권도와 합기도장 등도 예년 수준의 수강생을 유치하지 못해 코로나로 인한 매출하락의 두려움을 직접 체감하고 있다. 서구에서 합기도장을 운영하고 있는 관장 이 모 씨는 “안그래도 태권도나 검도에 비해 인기가 줄고 있었는데 코로나로 인해 관원모집에 비상이 켜졌다”라며 “아이들이 학교조차 마음 놓고 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운동을 시키기 불안해하는 학부모들이 많은 점도 한 몫하고 있다”고 푸념했다.

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체육인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수강생이 줄면 임대료·운영비·생활비 지출 부담으로 이어져 숨 가쁜 나날을 보내는 실정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대전지역 내 20대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클럽발 코로나 확산세로 실내 체육시설을 비롯 야구와 축구 등 단체 종목의 활동폭도 더욱 움츠러들 전망이라 체육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발표한 4차 재난지원금 대상에는 집합금지 업종이었던 헬스장이 포함됐지만, 코로나 이후 도산 위기에 처한 여타 체육업 종사자들은 이마저도 마뜩잖은 분위기다.

지역 체육계는 구청장기배 등과 같은 개최하지 못한 지자체의 체육 사업비를 지역 체육인 생계 지원에 사용하는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비치고 있다. 지역 체육계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 이후로 체육회나 협회 차원에서 간혹 10만~20만원 정도 격려금을 주고 있지만 그저 ‘반짝 위로’에 불과하다”며 “지자체마다 코로나로 진행하지 못한 체육 사업 예산을 어려운 지역 체육인들에게 지원해주는 등의 방법을 강구해야 할 때”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