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인프라 등 우수한 역량에도
R&D 사업화 수 매년 감소 추세
기업·정부 간 협력체계 미흡한 탓

▲ 2020년 대전지역 과학기술 항목별 전국 순위. KISTEP 제공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과학도시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과학기술 인적자원과 인프라를 갖고 있음에도 기술 창업 및 사업화 활동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와 산학연의 미흡한 협력체계가 주 원인인데 이로인해 타 지역과의 과학기술 혁신역량 격차 역시 매년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2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하 KISTEP)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지역 ‘창업·사업화’ 활동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5위를 차지했다.

‘인적자원’과 ‘인프라’가 각 1위, ‘연구개발투자’와 ‘지식창출’이 각 2위인 것을 감안하면 저조한 수치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수를 보면 2017년 2065건에서 2018년 1871건으로 감소했고,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수는 2019년(35개) 9위에서 지난해(28개) 13위로 4단계 하락했다.

대전은 석·박사 등 연구원 수, 연구비, 시설·장비 등 환경은 우수하지만 수요기업 발굴이 어렵고, 대덕특구와 산학연 협력체계가 미흡한 점이 기술이전 및 사업화의 장애요인으로 꼽힌다.

실제 지난해 대전의 ‘기업 및 정부 간 협력’ 항목은 17개 시·도 중 17위로 최하위다.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자원 집적 및 활동은 활발하지만 혁신 주체 중 특히 기업의 존재와 활동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대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액 중 기업 간의 협력 비중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단 0.6%에 불과하다.

전남이 5.3%, 경기가 5.1%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어마어마한 R&D 예산이 대전에 대거 투입되지만 이 기술들이 사업화로 이어지지 않고 사장된다는 점은 국가 발전 차원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 이는 과학기술 혁신 역량의 격차도 매년 벌어지고 있는 원인이 돼 대전의 과학도시 타이틀도 약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시브랜드 제고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대덕특구의 한 기업 관계자는 “대전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과학도시를 표방해 왔지만 대덕특구는 기업이 아닌 정부출연연구기관 중심으로 돌아가며 생산성 하락 등 다양한 부작용을 안고 있다”며 “수요자인 기업과 공급자인 출연연간 정보 교류 및 공동연구 등 유기적인 협력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는 곳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