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에 저축은행 수신규모가 크게 증가했으나 충청권 저축은행들은 부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비대면 거래 일상화는 대형 저축은행으로 수신 쏠림현상이 나타나게 한 반면 지방 중소 저축은행은 외면받으면서 저축은행권에서도 양극화가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28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의 수신(은행에 돈을 맡김) 규모는 79조 1764억원(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집계됐다. 2019년 같은기간대비 13조 2365억원(20.0%)이나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수신 증가는 초저금리 기조 장기화, 저축은행의 이미지 개선, 온라인·비대면 거래로 저축은행의 접근성 향상 등에 자금이 몰려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난해 충청권의 저축은행들은 오히려 수신규모가 감소하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다. 지역별로 대전은 2019년대비 수신액은 705억원 감소, 총잔액은 1조 2419억원(-5.4%)으로 집계됐다. 충남 역시 742억원 감소하며 총잔액은 9683억원(-7.1%)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저축은행의 인기에도 충청권에서 저축은행 수신 규모가 감소한 것은 온라인 거래 고객이 수도권을 기반으로 하는 대형 저축은행 위주로 쏠림현상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업계의 설명이다.  코로나19로 지역 경기가 침체된 탓도 저축은행들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도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온라인 거래가 일상화되면서 수신에 있어 저축은행의 영업권 구분은 의미가 없다”며 “여전히 저축은행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방에 많이 남아있고 경기침체로 대출을 늘려 자산을 확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권에서도 수도권과 지방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권에서도 수도권과 지방 저축은행의 양극화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처럼 저축은행권에서도 양극화가 커지고 있지만 지방 저축은행들의 향후 전망도 밝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24%에서 20%로 인하돼 저축은행들의 수익성 악화와 온라인 플랫폼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역 저축은행들은 지방에 기반을 둔 중소형 저축은행들의 영업구역을 확대하거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지역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업계 특성상 양극화가 커 대형 저축은행과 지방을 일률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되려 형평성에 반하는 면이 있다”며 “저축은행의 자산규모에 따라 영업권을 확대·축소할 필요성이 크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