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오 청주TP 자산관리 사업기획본부장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안)'의 국가계획(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여부를 두고 지역 사회가 들끓고 있다. 충청지역 4개 시도가 합의하고 충북도가 제시한 계획에 대해 국토부에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는 언론보도가 있은 후이다.

충북도의회, 청주시의회 등 정치권은 물론 경제관련단체와 시민사회에서도 연이어 성명서를 발표하며 반영을 촉구하고 나섰다. 심지어 '충청도 홀대론'이 다시 고개를 들며 지방소외에 대한 분노가 표출되고 있다.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은 대전과 세종, 청주구간을 철도로 연결하고 경제권과 생활권을 형성해 '충청신수도권 메가시티'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충청권 광역철도'는 청주공항~청주도심~오송(22.2㎞ 1조 3882억원), 오송~조치원(22.6㎞ 707억원), 조치원~신탄진(22.6㎞ 1187억원), 조치원~세종(10㎞ 8657억원), 세종~보령(90㎞ 2조 1343억원) 등 총 연장 163.3㎞(5조 6324억원)를 철도로 연결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특히, 청주도심을 통과하는 구간은 지하로 연결하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이미 지하철과 BRT, 트램 등 신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수도권과 인근의 대전시, 세종시와는 달리 철도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청주로서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충청광역철도망'이 완성되면 세종청사에서 청주공항까지 75분(급행버스기준) 안팎인 통행시간이 36분대로 단축되고 상당공원에서 오송역은 13분이면 도착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대전·세종·청주 등 인구 300만이 넘는 충청신수도권이 1시간 이내로 연결된다.

대전·세종·청주를 축으로 하는 '충청권 광역철도'는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 국정의 중요 정책과제로 공론화 되고 있는 신행정수도를 완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의제이기도 하다.

지방은 벼랑 끝 위기에 서 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46.1%에 달하는 105곳이 소멸위험지역에 속한다. 뿐만 아니라 지난 해 우리나라의 주민등록인구가 출생보다 사망자가 더 많아지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일어나 그야말로 본격적인 인구절벽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충청권 뿐 아니라, 영·호남 등 지방의 주요도시들은 '메가시티'조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메가시티'는 인근 지방자치단체의 생활·경제권을 하나로 묶어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토부가 예산사정을 이유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안'에서 유독 청주 도심 통과 노선만을 제외한다면 사실상 국가균형발전을 포기하겠다는 것과 다름없고 명분도 없다. 이제 이달안에 가안(假案)이 만들어지고 4월이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최종안이 확정될 예정이다. 더 늦기 전에 '충청권 광역철도망 계획'을 관철하기 위해 정치권은 물론 충북도민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