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코로나 1년, 충청권 일상회복 넘어 재도약으로

上.코로나 발생 1년, 경제·방역 투트랙으로 맞섰던 충청권
中.차례 반복된 제한 조치, 깊어진 아우성
下.'포스트코로나' 시대 충청 전략은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코로나19(이하 코로나) 국내 발생 1년여만에 백신 접종의 길이 열리면서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상 회복의 신호탄이 쏘아지면서 ‘포스트코로나’를 준비하는 충청권 지자체의 움직임도 함께 분주해지고 있다.

대전·세종시와 충남도는 다가오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따로 또 같이 대응하고 있다. 충청권의 강점인 바이오 등 과학산업 발전과 경제회복에 함께 중지를 모으면서도 지자체별 특성을 살린 맞춤 정책 실현으로 ‘신충청권’ 시대를 연다는 전략이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경제’는 여전히 핵심 화두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지난해 11월 인구 550만 초광역경제생활권 메가시티 구축에 합의하면서 경제 부흥을 예고했다. 특히 합의문에는 일부 시·도간의 협의 단계만 머물렀던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공동 수행 △충청권 광역철도망 등 충청권 광역사업 추진 적극 협력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추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충청권행정협의회 기능 강화 등 충청권 동반성장을 위한 조항을 담아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경제 회복 돌파구를 마련했다. 충청권이 집중적으로 육성해 온 방역·의료·바이오 산업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충북 청주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에서 이낙연 위원장은 “충청권이 주력해 온 과학산업과 관련된 자산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확실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년 넘게 지속되는 코로나 사태와 코로나에 앞서 발생한 신종플루·메르스 등 감염병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충청권 내 ‘공공의료체계 강화’도 구체화되고 있다.

대전시는 올해 대전의료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에 따른 공공의료체계 정립에 나선다. 대전의료원 설립, 보건소 현대화사업, 지역 병원 공공성 확대,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과 장애인 치과진료소 운영 등 대상별 공공보건시설 강화로 공공보건 의료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세종시는 올 한해 사회 책임복지를 강화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한다. 시는 감염병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감염병관리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감염병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를 갖추는 한편 호흡기 전담 클리닉을 운영하는 등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시민 접근성과 만족도를 높인다.

충남도는 도내 지방의료원들이 만성적으로 겪고 있는 간호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지역공공간호사제’를 도입했다. 공공의료원의 안정적인 간호인력을 확보를 통해 지방의료원의 기본부터 단단히 다진다는 것이다. 대전·세종시와 충남도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위기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혁신성장을 선도할 방침이다. <끝>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