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하루 2.4명꼴로 산업재해(산재) 사망자가 발생한다는 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난해 산재사고 사망자는 882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27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4년간 산재사고 사망자 추이를 보면 현 정부 첫해인 2017년 964명에서 2018년 971명으로 늘었다 2019년 855명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다시 1년 만인 지난해 산재사고 사망자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재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산재 후진국이다.

산재 사망자 절반 감축 목표가 무색해졌다. 현 정부는 해마다 1000명 가까이 발생해온 산재 사망자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임기 내 산재 사망자 절반 감축을 국정과제로 내걸었었다. 하지만 산재 사망자가 오히려 증가하면서 국정과제 실현은 멀어져만 가고 있다. 지난해 산재 사망자가 늘어난 데는 38명의 사망자를 낸 경기도 이천 물류창고 화재 사고의 영향이 있으나 여전히 곳곳에 재해 요인이 도사리고 있음을 부인치 못한다.

업종별 산재 사망자 중 건설업 산재 사망자가 유독 많은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건설업은 산재 사망자의 51.9%를 차지하고 있다. 사고 유형별로는 추락·끼임 사고가 48.3%나 된다. 다른 업종도 마찬가지이나 건설업관련 산재를 특히 줄여야 하는 이유다. 노동부가 올해 중대재해 위험 요인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기로 한 것도 산재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다. 산재가 빈발하는 건설 현장의 위험 작업 시기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적시에 감독을 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산재 사망자 절반 감축은 당장 어렵겠지만 반드시 추진해야할 과제임은 분명하다. 생명보다 중요한 가치는 없다는 점에서다. 사고원인을 파악해 대처한다면 재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안전부문에 대한 투자확대는 중대재해 예방과 직결된다. 시설개선을 요하는 영세 사업장에는 비용 지원도 긴요하다. 올해를 다시 시작하는 산재 사망자 절반 감축 원년의 해로 삼아 각오를 다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