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코로나 발생 1년, 경제·방역 투트랙으로 맞섰던 충청권
中.수차례 반복된 제한 조치, 깊어진 아우성
下.'포스트코로나' 메가시티·공공의료체계 강화로 신충청권 시대 연다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코로나19(이하 코로나)가 일상이 된지 1년을 맞았다. 지난해 1월 20일, 전국 첫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고 충청권은 한 달간 ‘청정지역’을 자부했다. 하지만 2월 21일 충남에서 첫번째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지역감염이 본격화됐다.

지역감염 확산 초기만해도 코로나 단기 종식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런 기대와는 달리 지난해 2~3월 대구 신천지발 1차 유행을 시작으로 해를 넘긴 현재 3차 대유행이 진행 중이다.

충청권은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경제·방역 투트랙으로 위기에 맞서왔다.

대구 신천지·줌바댄스발 1차 유행 당시만해도 감염병 대응 체계가 정립되지 않아 확진자 동선 공개 시 정보공개 범위 등에서 지자체별 격차를 보이며 민원이 속출하는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혼란 속에서도 세종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드라이브스루’ 방식의 선별진료소는 신속한 코로나 대량검사를 가능하게했고 전국으로 확산되며 방역망 강화를 선도했다.

사진 = 코로나19 음압병동. 충청투데이 DB
사진 = 코로나19 음압병동. 충청투데이 DB

지난해 6~7월 충청권 내 다단계방문판매업으로 인한 2차 유행부터는 1차 유행을 기반으로 한 ‘코로나 대응 매뉴얼’을 통해 선제적인 방역대책을 마련하고 전수검사 범위를 확대하는 등 추가 전파 방지를 위해 체계적으로 움직였다. 지난해 11월 이후 겨울철 실내생활 증가에 따른 계절적 요인, 요양병원·종교시설발 집단감염, 개인 간 접촉에 의한 산발적인 감염이 이어지면서 3차 대유행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용률·경제활동인구가 하락하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등 암울한 경제상황이 이어지면서 대전·세종시와 충남도는 ‘경제위기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촘촘한 방역망을 유지하면서 경제회복을 위한 취약계층 지원과 다양한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정책마련이 관건이었다.

대전시는 감염병 사태 촉발과 동시에 지급된 정부차원 재난지원금 외 ‘대전형재난지원금’을 마련하는 등 코로나 극복을 위한 긴급 추경을 지난해 5차례 편성해 모두 9031억원을 경제살리기에 투입했다. 올해는 정부의 코로나 3차 지원대책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소상공인과 예술인을 대상으로 582억원 규모의 ‘핀셋’지원에 나선다.

세종시는 민생·경제지원대책을 통해 긴급재난지원금 사업을 비롯 직접 피해 지원, 소상공인·지역기업 지원, 일자리 안정, 취약계층 지원을 했다. 이외에도 법인택시 종사자 253명·문화예술인 400여명 등 사각지대 지원, 공유재산 임대료 및 착한가격업소 지정 확대에 주력했다.

충남도는 중장기적으로 미래성장 동력 발굴과 연계한 고용창출 전략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고용 유지와 창출에 총력전을 펼쳤다. 단기적으로는 경영 위기에 놓인 중소업체 대상 생활안정자금을 비롯한 대출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충남형 상생 일자리’ 모델을 발굴, 특색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췄다. 코로나 백신 접종이 다가오면서 코로나 종식의 희망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지만 대전·세종시와 충남도는 공공의료체계강화와 꾸준한 경제대책 발굴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