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기업유치 활동 미흡… 매력 없어
중앙부처, 관내기업 발주 혜택 미미
전의산단 근로자 주거지원 태부족
시 차원 지원 한계… 정부가 나서야
토지가격 할인 등 인센티브 적용 필요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외형적 성장을 거듭하는 세종특별자치시. 국회 세종의사당을 비롯해 중앙부처 추가이전 등 행정기능 측면에선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세종시 백년대계를 이끌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기업유치의 현주소는 어떨까. 기업계 관계자들은 “행정수도 완성에 매몰된 세종시의 기업유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라며 “대기업을 이끌 유인책이 부족하고, 기업들의 고용환경 인프라가 아직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입을 모은다.

세종시는 최근 ‘기업하기 좋은 도시 세종’을 구현하기 위해 전국 기업을 대상으로 세종시만의 강점을 어필했다. 세종시 투자가치로 △국토 중심부 위치 △공공-민간 협업 최적 △디지털트윈 핵심도시 △입주기업 근로자 주거지원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기업맞춤형 서비스제공 등 6가지를 나열한 것.

기업계는 해당 내용들이 타지역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주장이다. 오히려 허점이 노출 돼 있다고 전한다.

‘공공-민간 협업 최적’ 부문도 현실과는 다르다. 세종의 한 기업계 관계자는 “세종시에는 수많은 중앙부처가 자리잡고 있지만 각 부처에서 물품 구매 발주시 관내 기업들에게 혜택을 주는 내용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입주기업 근로자 주거지원’ 부문도 마찬가지다. 세종시 북쪽에 자리잡은 전의산업단지의 경우 고용환경은 세종이 아닌 천안쪽으로 쏠린다. 전의산단의 한 관계자는 “전의쪽은 신도심 주거지역과의 대중교통체계가 매우 미흡한 게 사실이며, 기숙사 등의 기업 인프라가 부족하다. 현재 다수의 근로자들이 천안 시민들”이라고 지적했다.

‘기업맞춤형 서비스 제공’ 역시 CEO 간담회, 기업현장 애로사항 청취·발굴 등에 그쳐, 특별한 서비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의 혜택이 타 지역에 비해 높긴 하지만, 이는 기업의 구미(?)를 당길 혜택이 아니라는 게 기업계의 주장이다.

실제 세종시 기업환경은 악화되고 있다. 세종시 관내 제조업체 공장 등록 현황을 보면 2020년 10월 기준 803곳으로 전년 동월 (770곳) 대비 33곳이 줄었다. 세종시 기업체 수는 1만 2000여 곳으로 2012년 세종시 출범 당시 6640곳에 비해 두 배 수준 늘었다. 이 중 연 매출 50억 원 이상의 기업은 200여 곳. 문제는 지역을 대표 할 굵직한 기업이 없다는 것. 세종시의 자구 노력만으로 한계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기업인들은 정부 차원의 과감한 혜택이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인다. 만약 정부가 경제자유구역 이상의 인센티브를 세종시에 부여할 경우 기업들의 세종시행은 현실로 이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토지가격 할인 적용, 건축비 설비투자비 지원 등 이상의 파격적인 혜택이 요구되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태동한 세종시의 특수성을 정부에 알려 해당 인센티브를 적용받게 하는 게 세종시 정무라인의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이와 함께 세종시로 대기업을 이끌 전담 조직도 요구된다. 현재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LH 등에서 기업유치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각개전투 수준. 각 공공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대기업을 이끌 공격적인 행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기업 유치는 세종시 재정난 타개, 신도심 내 공실률 해소,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 중요한 프로젝트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는 앞으로 수많은 공공시설 유지관리에서 천문학적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기업의 법인세 확충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기업을 유치하지 못할 경우 세종시 지자체의 파산 시나리오는 현실이 될 수 있고, 유령도시 속에서 시민들의 재산권인 상가 공실 문제도 악화 될 수밖에 없다. 세종시는 정부의 과감한 인센티브 정책을 이끌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