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교·취재2부 정치사회팀

“돌아가신 분이 적어도 다섯 분 이상입니다. 자택에 머물다가 건강이 더 악화됐다는데 당뇨나 합병증 환자도 있고 신장 투석을 받는 분도 있었죠. 대부분 홀로 사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 대전의 한 장애인복지관 관계자로부터 전해들은 비보였다. 시각장애인들이 주로 찾는 이곳은 코로나19 사태에 휴관을 두 차례 반복한 뒤 현 시점에선 극도로 프로그램을 축소한 상태다. 하루 평균 120명 가량이 찾았지만 지금은 프로그램 참가자를 10여명 안팎으로 제한했고 헬스장이나 부대시설 이용은 사실상 금지됐다. 또다른 장애인복지관이나 노인복지관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여러 관계자로부터 전해들은 내용을 요약하자면 복지관은 장애인이나 노인들의 일상이 녹아든 현장이자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창구였다. 운동을 하거나 타인과 담소를 나누고 여러 교육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해 소박한 미래를 그려나가기도 했다. 그러나 감염병 취약군에 속한 이들의 삶은 코로나 사태 속에서 누구보다 먼저 고립됐다.

세상과 단절돼 홀로 쓸쓸히 영면에 들게 됐을 분들의 사연을 추적했다. 하지만 그러한 사연 조차 고립된 모습이었고, 이내 ‘지금은 누구에게나 벌어질 수 있는 일이 된 것 같다’는 취지의 전언에 명치를 맞은 기분이 들었다. 모 사회단체에 소속된 전언의 주인공은 무미건조한 태도나 지나가는 가벼운 말로 이같은 말을 내뱉지 않았다. 오히려 우려나 두려움에 가까웠다.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지속된다면 이러한 비보가 더이상 특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비대면·온라인 소통이 강세를 보이면서 디지털 정보화 분야에서도 취약군에 속한 그들의 고립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장애인 분들이 활용법을 잘 몰라서 교육을 해야 하는데 반대로 온라인을 통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장애인 대상 정보화 교육을 추진해온 한 기관의 토로다. 특히 교육생을 비롯해 기관 내에도 비대면 교육을 위한 장비가 마련되지 않았고, 반대로 그러한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 수 개월의 교육과정이 당국에 의해 강제로 취소됐다. 장비 등 지원은 없었고 어처구니 없는 악순환의 고리가 만들어졌다.

세상이 바뀌었고 앞으로 이전의 생활로는 돌아가기 힘들 것이란 전망들이 쏟아진다. 그렇다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변화도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유토피아를 꿈꾸는 게 아니라 이미 닥친 현실이 가혹해서다. 정상적인 복지국가와 공동체라면 외면하지 않을 모습이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다. 우리는 이 변화가 누군가에게 칼 끝을 겨누기 전에 해법을 찾아야만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