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미 대전시사회서비스원 대표이사

최근 전 세계는 새로운 감염병으로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사회변화를 맞고 있다. 일상 모임은 최소화 됐고 학교와 직장에서는 온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받아들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황이 점차 통제되는 듯 싶었으나 이달 들어 중대본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격상하고 오는 28일까지 수도권은 2.5단계, 비수도권은 2단계로 격상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하고 있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영향을 받고 있지만 특히 아동들은 변화에 스스로 대응하기보다는 결과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더 신경 써야 한다. 유니세프는 코로나19(이하 코로나)로 아동의 건강뿐만 아니라 아동 권리가 총체적으로 침해받고 있음을 경고했다.(UN,2020.5.12.) 코로나가 사회와 문화, 경제 전반에 변화를 초래함에 따라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인 아동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주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은 ‘2020 대전아동복지포럼’을 개최해 코로나가 바꾼 아동 삶의 변화와 사회를 아동 권리 관점에서 살펴보고 사회의 다양한 대응 방법을 논의했다.

긴급돌봄 기관을 제외한 많은 지역사회복지 기관이 휴관하고 학교 개학의 연기되면서 급식과 도시락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아동들의 생존권이 잠정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부모와 아동의 스트레스와 갈등이 증가하고 모니터링이 어려워짐에 따라 실제로 학대의 위험성도 매우 높아질 것이라 예측된다. 또한 아동들이 집에서 지내는 시간 동안 미디어 노출 시간과 빈도가 심각하게 증가한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수업을 온라인 형식으로 대체하면서 가정 내 돌봄이 취약한 아동의 기초학력이 저하돼 고소득가구 아동과의 학력 격차가 커지고 있다. 운동장에서 뛰면서 놀이를 할 수 없는 상황은 아동들의 발달권을 저해한다. 특히 트라우마나 미디어중독 등 심리,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으나 적절한 치료나 개입을 적시에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재난 시기에 발생하는 일상의 변화와 불균형은 아동과 청소년 정신건강을 저해한다.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정, 양부모가 아닌 가족 형태의 아이들에게 교육 격차와 공적 돌봄 공백에 대한 최우선 개입이 필요하다. 아동 관련 서비스(교육·돌봄·아동보호 등)를 제공하는 최일선 필수노동자 보호와 지원도 필요하며 돌봄 공백은 유연한 노동정책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

‘한 아이를 키우는데 온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처럼 가정, 학교, 지역사회 모두가 같이 협력하며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코로나 이후 아동이 삶의 일상을 유지하고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의 역할에 대해 다양하고 지속해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아동 최선의 이익이 선언적 의미로 그치지 않고 가장 우선적으로 대응해야만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