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서 취재1부 경제팀 기자

최근 대전지역의 핫 이슈는 단연 ‘중소기업벤처부(이하 중기부) 이전’ 아닐까 싶다. 중기부 이전 이슈가 지역을 달군 지 약 3개월. 슬슬 시민들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의 중기부 이전 철회 전략에는 정작 알맹이가 빠졌다. 공청회 날짜까지 확정된 상황에서 대전시는 여전히 천막 농성 및 시민 서명 등 정서적 호소로만 일관하며 강한 시민 공감대를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반대 논리의 핵심은 ‘중기부 이전이 대전지역에 미칠 경제·사회적 영향’이다. 무조건적인 반대 이전에 실제 중기부가 이전했을 때 대전지역에 발생할 피해와 타격이 어느 정도인지 수치·계량화하는 작업이 먼저였다. 더욱 전략적인 차원에서 ‘왜’ 대전 시민이 반대할 수밖에 없는지 누구나 납득 가능한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단순히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분, 대전·세종 간 물리적 거리, 주변 상권 피해 정도로는 정부와 시민을 설득할 수 없다.

중기부가 빠져나가면 대전지역 인구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특히 청년층 이탈은 어느 정도인지, 고령화 비율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연령별·계층별·가구별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

이에 따른 도시생태계의 건강성 확보 차원에서는 무슨 문제가 발생할지까지도.

또 중기부는 물론 산하기관들이 지닌 직·간접적 경제적 가치와 이전 후 대전지역의 경제적 피해를 주체별·상황별·시기별로 파악해야 한다.

내가 가진 땅이 값어치가 없는 빈 깡통인지, 재개발 부지인지 아니면 노른자 땅인지 객관적으로 알고 있어야 매매나 교환할 때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단순한 숫자놀음이 아닌 대전시민의 미래를 담보한 현안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과거처럼 삭발하고, 천막 치고, 현수막 내거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오는 17일 공청회에서 대전시가 꺼내 들 카드가 과연 무엇일지 무척 궁금해지는 이유다. 4차산업혁명특별시를 표방하는 대전답게 똑똑하게 싸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