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고래 방류 기념물

꼭 3년 6개월 전 서울대공원에 있던 돌고래 금동과 대포가 제주 앞바다 가두리로 옮겨져 적응훈련을 마치면 방류될 예정임을 반기는 컬럼을 쓴 적이 있었다. 지능이 높고 감정 표현이 풍부한 돌고래는 바다를 누비며 이따금 솟구쳐 오르다가 다시 잠수하는 모습이 장관이다. 그러나 좁은 수족관에 가두어 놓고 먹이를 미끼로 단순 동작을 반복시키는 행태는 이제 그만 보아도 좋을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창경궁을 창경원이라는 이름으로 격하시키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조성한 일제강점기의 식민정책으로 시작된 동식물 관람의 역사는 창경원이 다시 창경궁으로 복원되면서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옮긴 이후에도 골격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 사이 용인에 당시 자연농원이라는 이름으로 사설 동물원, 식물원이 들어서고 이후 전국 각지에 유사한 소규모 시설이 같은 유형으로 생겨났다. 좁은 사육 공간, 열악한 환경 속에 몰려드는 관람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온갖 질병, 기행에 노출된 동물들의 '동물권'에는 관심이 비껴간 채 어린이, 어른들의 호기심을 채우는 놀이마당의 기능에 그칠 따름이었다.

서울대공원 돌고래 쇼는 없어졌다 해도 다른 동물들의 사육환경은 크게 나아지지 않아 보인다. 어린이, 학생들의 생태학습과 호기심 충족, 어른들의 향수를 달랠 목적이라면 이제는 철책 우리에 가둬놓은 동물 관람 대신에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첨단공간 체험이 훨씬 생생하고 실감날 것이다. 우리에 가둔 야생동물들을 제자리로 옮겨놓는 일이야말로 이미 현실로 다가서는 자연의 응징, 환경의 보복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제주 함덕 해수욕장 한켠, '보호대상 해양생물 남방큰돌고래가 고향 제주바다로 나간 곳입니다' 라는 커다란 안내판과 그 옆에 '금동 대포 고향바다의 품으로'라는 석제 기념비<사진>가 눈길을 끈다. 돌고래에 대한 사랑보다는 관청, 인간들의 생색내기가 더 앞선 느낌이다. 동물들의 방류, 방사를 촉진하기 위한 징표로서 의미를 부여한다면 조그만 표지석 하나면 충분하련만 수려한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커다란 기념 조형물은 야생동물 자연방사라는 좋은 일을 한 뒤의 겸손함이 가려져 아쉽다. <한남대 프랑스어문학전공 명예교수, 문학평론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