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주지역에서 행정수도 소외론이 팽배하고 있다는 보도다. 행정수도(세종시) 건설을 위해 온갖 지원을 했지만 돌아온 건 시세(市勢) 위축뿐이라는 것이다. 인구소멸 도시로까지 언급되고 있는 공주시이고 보면 충분히 피해의식을 가질 만 하다. 공주시의 불만은 최근 여당발 '행정수도 이전'과 맞물려 증폭되고 있는 분위기다. 그동안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대의에 눌려있던 불만이 표출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행정수도 조성과정에서 공주시가 적극 지원을 한 건 누구도 부인치 못한다. 세종시 출범 당시 공주지역 3개면, 21개리가 세종시로 편입됐다. 이곳에 거주하던 주민 5846명도 자연히 세종시민이 됐다. 이후 공주시의 시세위축은 가속화 일로를 걷고 있다. 세종시 출범 당시인 2012년 5월 말 현재 12만4100명이었던 공주시 인구는 올 5월 말 현재 10만5611명으로 8년 간 무려 1만8489명이나 줄었다.

주목할 점은 지난 8년간 공주시의 인구 감소분 중 세종시로 유출된 비중이 93%(1만7178명)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소비활동이 왕성한 젊은 연령층이 대거 세종시로 빠져나갔다고 한다. 이쯤 되면 세종시는 공주 인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뜩이나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공주시의 활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오죽하면 김정섭 공주시장이 "공주는 세종시 건설의 최대 피해자"라고 하소연 했겠는가. 공주시의 성장잠재력을 볼 때 넋두리만으로는 들리지 않는다.

세종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은 '국가는 세종시 인접 지역이 상생발전을 이룰 수 있는 시책과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공주시는 지원받은 게 없다고 볼멘소리다. 공주시가 '행정수도권'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나선 이유다. 행정수도 완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지역 소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수도의 범위를 확대하자는 거다. 지역 상생발전 차원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