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현충원 사진=박문규

"서울현충원에 안장하면 '우대'하는 것이고, 대전현충원에 안장하면 '홀대'하는 것이라고 한다. (......) '서울 우대 대전 홀대'라니 대전 현충원에 안장된 호국영령들을 홀대하는 것 같아 몸 둘 바를 모르겠네." 페이스북 친구 어느 분의 노기에 찬 포스팅에 공감하였다. 서울 동작동 현충원이 이미 포화상태여서 화장 후 유해를 안치하는 경우 이외의 매장은 어려운 실정이라 1985년 조성된 대전 현충원을 비롯한 전국 곳곳의 시설에서 애국영령들을 모시고 있는데 얼마 전 불거진 장지를 둘러싼 논란은 참으로 뜬금없다. 서울 대전 외에도 임실 이천 괴산 등지에 현충원, 호국원이라는 이름으로 같은 성격의 추모 공간이 운영되고 있는 마당에 서울-지역 양분법적 구획은 우리 사회에 이른바 중앙-지방의 구별과 격차 조장, 이런 구도를 당연시하는 일부의 시각이 여전히 굳건함을 보여준다. 서울 안장을 주장하는 이유로 접근성, 외국인의 묘소 참배 시 안내의 편의성 그리고 교육 현장으로서의 활용도와 함께 고인의 위상을 강조하고 있다. 앞으로 유사한 사례 마다 이런 소모적인 논쟁이 재연될 개연성이 높다.

결국 서울은 서울이고 대전은 지방이 아니냐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사안인데 우리 사회에서 '지방'이라는 표현은 뉘앙스나 함의에 있어서 변방, 변두리라는 차별성을 강조한다. 그래서 '지역'이라는 표현을 쓰도록 권장하지만 정착이 더디다. 서울에 서울지방경찰청, 서울지방병무청이 있고 "서울지방의 내일 날씨는…"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듯이 '지방'의 일부임에도 서울vs지방이라는 이분법적 권위의식이 이런 현실을 용인하고 지속시킨 바탕이 되지 않았을까.

지금까지 서울근무 공직자들이 비리와 구설수에 연루되면 우선 '지방'으로 발령을 낸다. 왜 이런 문제 있는 공무원들을 지방으로 보내고 또 지역에서는 그들을 받아들였을까. 우리나라 공직사회의 오랜 관행이라고 하지만 상식을 벗어난 조치들이 수십 년간 반복되고 있다.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몇 번의 반발을 제외하고는 유야무야 넘어가곤 했다. 문제야기 공직자 지방발령이라는 비합리적인 조치부터 제도적으로 바로잡아 지역민들의 자존심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지역발전, 지방화시대의 실천이기 때문이다. 지역에 산다고 그런 비리연루 공무원들의 행정서비스를 받아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지 않은가. <한남대 프랑스어문학전공 명예교수, 문학평론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