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원장 선임·공식 개관 앞둬… 고급 인적자원 구성 필요
기존 산하기관 중복사업 단일화·혁신주체 중개자 역할 기대

[과학도시 대전, 진정한 '혁신'도시 되려면?]
上. 과학 관련 기관 유치…혁신 플랫폼 구축이 우선
中. 연구단지-산업단지 기업 연계 '열쇠'
下.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의 역할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연구개발특구 출범 50주년과 혁신도시 지정을 앞두고 설립되는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이하 DISTEP)’은 지역혁신 체제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으로 거듭나야 한다.

단순 공무원 조직의 연장선상이 아닌 공공부문R&D와 연계산업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물론 지역의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기획, 실행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최근 창립이사회를 개최한 DISTEP은 8월 원장 선임 후 공식 개관을 목전에 두고 있다.

초대 창립 이사진에는 △김동수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김복철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회장 △김원준 KAIST 교수 △권석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문영호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 등 총 10명이 포진했다.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DISTEP의 가치는 크게 과학기술과 산업의 ‘기획 역량’ 확보, 그리고 지역혁신 주체들 간 ‘중개자’ 역할이다.

DISTEP은 대전의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관이다.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물론 향후 연축지구 내 과학기술 관련기관 간 협력관계를, 지역차원에서 공생, 고도화 시킬 수 있는 전략적 조직이기 때문이다.

개관 이후 보다 빠른 조직 안정화를 위해 우선 고급 인적자원 구성이 강조된다.

DISTEP 조직은 원장과 대전시 공무원 2명, 출연연 및 대학에서 7명, 신규직원 16명 채용 총 25명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대전의 과학기술 및 연계산업의 현황을 잘 알고, 지역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필요사업 도출과 수주활동이 가능한 전문적인 관리역량을 지닌 인력이 필요하다.

지역이 보유한 공공연구부문과의 협력관계 구축도 중요한 조직 목표다.

이를 위해선 지역 내 산·학·연·관·민을 서로 이어 갈등을 중재하고 협업을 촉진하는 기관 시스템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업 추진 및 관리와 평가 △과학기술 기반 지역 비전 설계 및 전망 △지역 내 과학기술 및 산업현황 모니터링 그리고 빅데이터화 △지역 주체 간 연계활동 등이 포함돼야 한다.

이밖에 기존 대전경제통상진흥원, 대전테크노파크 등 기존 산하기관들과의 중복사업을 단일화, 전문화 하는 작업도 이뤄져야 한다.

기관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 지역행사나 단순 홍보사업은 철저히 제외 돼 기관의 설립 취지가 퇴색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김승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기업연구단 박사는 “혁신도시 지정 이후 지역 내 혁신주체를 더 많이 늘리는 것과 플랫폼 구축은 동시에 이뤄져야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DISTEP이 지역의 혁신생태계 구축과 동시에 혁신주체들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성공모델로 작용되길 바란다”고 답했다. <끝>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