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우렁이 생태교란종 고시
인력·비용 등 왕우렁이 최선
제초제 등 생태계 파괴 회귀
“열대성 … 겨울에 대부분 동사”
도·청주시 등 반대의견 제시

[충청투데이 심형식 기자] 친환경농업에 주로 쓰이는 왕우렁이가 생태계교란 생물로 고시됐다. 왕우렁이가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면 마땅한 대안이 없어 청주 청원생명쌀 등 지방자치단체와 농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1일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 개정안을 고시했다. 생태계교란 생물은 국내 자연생태계에 정착·확산돼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할 우려가 큰 경우 지정된다. 왕우렁이는 리버쿠터, 중국줄무늬목거북 등 6종과 함께 고시됐다.

환경부는 왕우렁이가 어린 풀 등을 갉아먹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왕성한 번식력으로 토착종과 경쟁하는 것을 고시 이유로 밝혔다.

왕우렁이는 1990년대 초반 국내에 도입됐다. 벼 모종을 심은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왕우렁이를 입식하면 어린 잡초를 갉아먹어 제초 효과가 있다. 지금은 왕우렁이 농법이 대표적인 친환경농업으로 자리잡았다.

이런 상황에서 환경부가 왕우렁이를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하려 하자 지자체와 농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29일 청주시에 따르면 청주 지역 전체 벼 재배 농가수는 9088호고 재배면적은 8891㏊다. 청주시는 이중 2532농가 3029㏊에 도비와 시비, 자부담 등 19억 7100여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왕우렁이를 지원하고 있다. 우렁이 지원 농가 중 640호, 재배면적 594.9㏊는 친환경인증을 받았다.

특히 청원생명쌀이 문제다. 청주시의 대표 농특산물 브랜드인 청원생명쌀은 계약재배로 생산된다. 왕우렁이 농법이 의무사항이다.

문제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오리, 미꾸라지 등 다른 친환경농법이 있지만 인력과 비용 등 생산비용 측면에서 왕우렁이만큼 효율적인 농법이 없다. 특히 청주지역에서만 왕우렁이 종패장이 5곳이 있어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면 이들 사업자와 함께 친환경농사 자재산업 등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

이 때문에 충북도와 청주시 등 지자체들은 환경부에 고시 의견서를 통해 지정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충북도는 “왕우렁이는 열대성 연체동물로 추위에 약해 겨울에 수온이 낮아지면 대부분 동사한다”며 “토착종과는 서식지가 달라 생태계 교란 우려가 크지 않다”고 의견을 냈다.

또 청주시는 “왕우렁이를 투입하지 않으면 친환경농업 제초작업을 대체할 수단이 없어 제초제를 사용하는 농업으로 회귀할 것”이라며 “생태계의 파괴 또는 환경보전 및 국민에게 안전한 먹거리 생산이라는 친환경농업이 가지는 공익적 가치가 저감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