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못한 것도 아닌데, 왜 우리가 피해봐야 하는 거예요.”

대전 장애인 평생교육시설인 한울야학에 다니고 있는 학생과 보호자들의 이야기다.

이들은 부실급식 사태가 불거지며 야학이 한동안 임시 휴업에 들어가자 이같이 하소연하면서 눈물을 보였다.

또 이런 사태를 만든 야학 운영진을 원망하다가도 계속 야학에 다닐수는 있는지 걱정하는 눈빛도 역력했다.

장애 학생 A 씨는 “야학 운영이 어렵다고 해서 학생들이 십시일반 매일 점심값 1000원씩 걷었다”면서 “우리끼리 공부하는건 즐거웠으니까”라고 말했다.

결국 관리감독 기관의 소홀함과 야학의 무책임함에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 학생들에게 또한번의 상처를 준 것은 아닌지 몇주동안 취재를 했던 기자의 마음 한켠을 복잡하게 했다.

처음 ‘인근 학교 급식에서 남은 음식을 장애 학생들에게 주고 있다’는 제보로 시작된 이번 취재는 파면 팔수록 의혹이 커졌다.

‘장애 학생 잔밥 제공’으로 시작해 부실급식, 허위 강사 등록, 강사료 페이백, 다른 지자체 사업 중복 지원 등 의혹은 갈수록 확산됐고 대부분 사실이라는 정황들이 속속 드러났다.

기자가 일주일 넘게 야학과 야학이 남은 음식을 가져한 인근 고등학교를 지켜본 결과, 매일 잔반을 가져가는 정황은 포착됐지만 계약한 급식업체에서 음식이 만들어지는 모습과 배달되는 모습은 목격되지 않았다.

또 한울야학에 보조금을 지원했던 한 기관 담당공무원은 자신에게 불똥이 튈까봐, 예산 지원 내역을 감추거나 야학 측에 연락해 취재에 대비하라고 알리기까지 했다.

그나마 야학에 정부보조금을 지원한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과 정부시범사업 관리감독 기관인 중부대 산학협력단, 대전시교육청 등이 진상조사와 대책 마련에 신속하게 움직이면서 야학 임시휴업기간이 예상보다 단축된 것은 다행이다.

또 야학에 다니는 장애 학생들의 부실했던 급식이 개선되고 관리감독이 강화되면서 투명한 운영이 기대되는 것도 안심되는 부분이다.

특히 임시휴업 이후 수업에 참석한 학생들이 웃는 모습을 볼수 있어 안도감도 들었다.

교육부는 이번 한울야학 사태를 계기로 전국에 있는 다른 장애인 평생교육시설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교육부를 비롯한 관계 기관들이 앞으로도 장애 학생들이 차별받지 않고 꿈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감독 시스템을 구축해 주길 기대해 본다.선정화 기자 sj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