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본부 조선교 기자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누구나 익히 알 법한 경구다. 첫 출발부터 상황이 틀어진다면 그 과정과 결말이 달갑지 않을 것이란 걸 예견하는 말로 볼 수 있겠다. 최근 격화되고 있는 서해선~신안산선 복선전철의 연결 방식에 대한 논란을 살펴보면 첫 단추는 엉뚱한 곳에 꿰어졌다. 서해선 복선전철 착공 당시 국토부는 홍성~여의도 57분 주파를 자신있게 예상했고 관계 지자체와 지역민들은 서울까지의 ‘직행’에 큰 기대와 믿음을 가졌다.

하지만 국토부는 지난해부터 서해선과 환승 방식으로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을 추진해왔고 최근에서야 그 사실이 드러나며 공분을 사고 있다. 국토부는 서해선~신안산선 연결 방식을 ‘연계’라고 명시해 직결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환승을 표현한 것이 아니란 점도 인정했다.

이 와중에 홍문표 의원 측에게 기공식 당시 실무 책임자가 “직행으로 추진해왔던 것”이라고 밝히면서 지역 내에선 ‘수도권 철도사업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내쳐졌다’는 배신감마저 팽배해진 모양새다.

그러나 국토부의 해명만이 이번 사태의 본질은 아니다.

충남과 전북이 직·간접적 영향권에 속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착공 전까지 어떠한 소통이 없었다는 점도 분명 큰 문제점이다.

온라인 기사에 간헐적으로 달리고 있는 댓글들을 살펴보면 국토부 해명을 두고 두 지역민들이 서로를 헐뜯거나 근거 없는 의혹으로 몰아세우고 있다.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소통 없는 행정이 비극으로 치달았고 온라인상에서 민민갈등의 조짐으로 나타난 셈이다.

신안산선은 관계 지역민들이 20여년 간 기다려온 숙원사업이고 충남·전북에서는 서울 직행을 통해 그동안 소외받았던 서해축 철도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갈 교두보였다.

두 지역민의 염원은 결코 서로 다른 곳을 향하거나 배치되지 않았다. 정부가 이를 인식한다면 해명을 고집할 게 아니라 해법을 제시해야 할 때다. 신안산선과 서해선 복선전철의 사업비는 모두 7조원대에 달하지만 직결을 위한 시설개선비용은 1000억원 미만이라는 게 실무진의 설명이다. 국가 백년대계의 기틀이 될 철도망계획을 옷에 비유한다면 이 또한 단추에 불과할지도 모를 일이다. 지역민들의 요구는 국토부의 입장과 달리 변함이 없었다. 단지 첫 단추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