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출범을 앞두고 있는 충북도가 투자 유치 올인 전략을 짜고 있다. 3선 도백(道伯) 이시종 지사는 “충북의 살 길은 투자유치에 있다”고 확언하며 직원들에게 총력을 다 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투자유치로 충북의 먹거리를 만들자는 뜻이 그의 맘속 깊은 곳에 자리 잡은 듯하다.

민선 5~6기 성과를 밑거름 삼아 앞으로 4년 동안도 가속 폐달을 밟겠다는 것이다.

도청 각 부서도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앞 다퉈 투자유치 전담 창구를 만드는 등 저마다 민선 7기 도정 방향키를 잡으려 동분서주하고 있다.

마른 수건까지 쥐어짠다는 소리가 나온다. ‘생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도정 방안’이라는 평도 있지만 어딘지 모를 불안감이 있다. 앞선 40조 투자 유치 달성이라는 장밋빛 성적표에 가려진 그림자를 쉽게 지울 순 없다. 가까운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충북의 100년 먹거리로 표현되던 충북경제자유구역 에어로폴리스 항공정비사업(MRO)은 아시아나의 사업 포기로 결국 무산됐다. 청주 오송을 신약 개발 연구소·생산시설 집적지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던 이란과의 2조원 투자 협약 파기도 민선 5~6기의 어두운 이면이다.

중동 오일머니 확보는 지역 바이오산업의 일대 전기를 마련할 호기였다. 결국 엎어졌고 열사의 땅 신기루마냥 사라졌다. 국제 정세 등에 따른 리스크는 감수해야 한다지만 민선 7기 충북도에 분명 시사 하는 바가 크다.

투자 결정 기업에 대한 행·재정적 도움. 당근을 제시하기 이전, 보다 분명한 목표 설정과 이행 방안에 대한 약조를 받아내야 한다.쇠와 돌처럼 변치 않는 약속까지가 무리라면 일종의 출구전략은 마련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실적 지상주의에 매몰된 투자 유치는 빈껍데기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3선 연임 제한에 발이 묶인 이시종 지사는 분명 바랄 것이다.

160만 도민의 먹거리·일자리 창출과 눈에 띄는 경제 성적표를 말이다. 하지만 최근 지방자치단체 투자를 고민하는 기업들의 시각은 엇갈린다. 지방세 감면, 입지 조건 완화 등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처럼 보인다고 한다. 반대로 수도권 규제 완화로 4차 산업 기반 기업들은 여전히 수도권 진입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투자 유치와 선행은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할 때 빛이 난다. 단순 실적을 나열하는 투자 유치가 아닌 도민들이 직접 느낄 수 있는 실물경제를 살려야 한다.

물론 해당 기업의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한 실속 있는 투자 유치 활동도 중요하다. 이시종 지사와 모든 충북도청 공무원들의 ‘일보 전진’이 필요한 시점이다. 밤낮없이 일만 한다는 ‘워커홀릭’ 이 지사의 노력이 큰 결실로 이어지길 바란다.

김용언·충북본부 취재부 whenikis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