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청년들에게 있어 철새도래지 같은 지역이에요.” 최근 만난 대전의 한 대학생이 한 말이다. 청년들에게 대전은 잠시 머무는 곳일 뿐 뿌리내리고 살기 어려운 곳이라는 의미다.

기자이기 전에 대전에 살고 있는 청년으로서 이 학생의 표현에 격한(?) 공감이 갔다. 대전에서 대학을 다녔던 기자의 주변 상황 역시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선배나 동기 그리고 후배들이 졸업 후 대전에 터를 잡고 사는 경우가 많지 않다. 그들에게 대전은 나고 자라서, 아니면 대학 등을 이유로 잠시 거치는 곳일 뿐이다.

대부분 물리적으로 멀지 않으면서도 일자리가 넘쳐나는 서울로 향했고 그곳에서 가정도 꾸리면서 어느새 ‘서울사람’이 된다. 대전에서 오랜 기간 물적, 인적 방면의 다양한 관계를 맺어 왔음에도 이들이 낯선 타지역으로 향하는 이유 또한 다들 비슷할 것이다. “대전은 일할 곳이 없어” 혹은 “공무원·연구원 아니면 먹고 살기 어려워.” 청년들의 한숨 꺼지는 이 같은 하소연은 비단 어제 오늘 일의 문제는 아니다. 청년들은 내가 살고 싶은 터전을 주도적으로 고를 선택권도, 자유도 사라진 채 그저 그게 어디든 밥벌이 할 수 있는 곳으로 전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지역 청년들의 경우 아무런 관계망이 형성돼 있지 않은 낯선 곳에서 오로지 생계만을 위해 정착하며 생활 속 크고 작은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

문재인 정부 핵심공약 중 하나가 자치 분권이다. 지역 청년들은 그 지역의 미래이자 지방분권의 가장 확실한 자양분이다.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지역청년의 고용확대가 지금보다 더욱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까지 적극적인 지역의 우수 인재 유치가 필요하다.

오는 28일 지역인재채용비상대책위원회가 한 달간 청와대 국민청원 운동을 시작한다. 대전이 청년들에게 더 이상 철새도래지가 아닌 오랫동안 머물고 싶은, 머물 수 있는 지역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최윤서·대전본사 교육문화부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