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훈풍이 우리사회 각 분야에 온기를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으로 한반도 신경제지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역설적으로 충북도가 심혈을 기울여 온 ‘강호축’ 개발이 이목을 끌게 됐다. 기존 경부축 위주 개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강원과 충청, 호남을 잇는 강호축이 신경제지도(H축)와의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이제야 강호축 가치가 재조명받지만 만시지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신경제지도를 담은 판문점 선언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독일 베를린에서 밝힌 구상과 궤를 같이 한다. 이런 경제축의 이동을 충북이 몰랐던 건 아니다. 철저한 준비가 없었다. 강호축을 주요 도책 사업으로 설정했지만 소홀했던 게 사실이다. 베를린 선언 이후 진정성에 중심을 둔 심도 있는 강호축 논의가 이뤄졌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것이다.

강호축에 포함되는 자치단체와의 업무 협약 등 가시적 성과만을 앞세웠지만 현 상황은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강호축이 신경제지도에서 패싱될 것이라는 야당의 비판과 분발 요구를 수긍하기 힘들다며 ‘정략적 의도가 숨어있다’는 식의 이시종 지사의 대응은 적절하지 못하다.

남북 경제협력이 재개되면 국토교통부와 코레일, 한국도로공사 등의 교통인프라 사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은 남북 경협 활성화 분위기에 대비해야 한다. 국내 SOC 예산 축소 등 공공 부문 발주가 줄어들고 있지만 북한 인프라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경우 천문학적인 규모의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만시지탄을 넘어서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제부터라도 신발끈을 조여매야 한다.

3선 도전에 나선 이 지사는 신경제지도와 강호축과의 연계를 위해 연일 통일부와 기획재정부 등 중앙 부처 문턱이 닳도록 강행군을 펼치고 있다. 한반도 평화 안착의 첫걸음인 신경제지도 추진에 충북이 참여하기 위해선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강호축을 제안한 충북이 앞길을 이끌어야 한다. 강호축의 청사진이 막연한 장밋빛에 물들지 않고 오색 창연한 캔버스에 담기길 바란다.

김용언·충북본사 취재부 whenikis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