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류지봉 충북NGO센터장


평창동계올림픽의 인기가 뜨겁다. 선수들의 눈부신 활약에 많은 국민들이 박수 갈채를 보내고 있다. 스켈레톤, 루지, 컬링 등 이름조차 생소한 종목에서 관심 받지 못하던 선수들은 그 동안 흘렸던 구슬땀에 대한 응당한 보답을 받고 있다. 사실 평창동계올림픽은 국민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환경을 파괴하며 꼭 개최해야 하느냐는 것이 대다수의 여론인 것 같았다.

하지만 반전이 일어났다. 그 반전은 북한의 참가였다.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새해 첫날 신년사에서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발표했다. 민족의 위상을 과시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대회가 성과적으로 개최되기를 바란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는 전 세계의 관심을 평창으로 모이게 만들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평화의 한마당으로 바뀌는 극적인 반전이 일어난 것이다. 아직 일정이 많이 남아 있지만 지금까지 내게 가장 극적인 장면은 단일기를 앞세우고 남북의 선수들이 동시입장하는 순간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이 함께 지켜보는 장면이었다.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통일이라는 담론이 우리 곁으로 다시 찾아 왔다. 통일에 대한 생각에 저마다 많은 차이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통일에 대해 다시금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하는 시간이 찾아온 것이다. 요즘 몇몇 언론은 통일을 당연한 민족적 과제로 생각하는 세대와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 2030세대간의 통일감수성의 차이를 퍼뜨리고 있다. 하지만 실제 여론조사 결과는 그렇지 않다. 얼마 전 실시한 통일연구원의 조사에서 민족동일성에 대한 인식은 기성세대나 청년세대가 별반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기 때문이다. 통일은 청춘시절 나에게 피할 수 없는 화두였다. 청춘의 상당 기간을 감방에서 지내야 했던 이유이기도 했다. 두 번의 감옥살이 모두 국가보안법 위반이었다. 첫 번째는 북한의 조선학생위원회와 팩스를 주고 받은 일 때문이었다. 긴 시간 떨어져 살아온 남과 북의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차원의 교류를 시작해야 한다는 당시 통일운동의 흐름에 동의해 벌인 일이었다. 두 번째는 대학 교지에 통일에 관한 글을 썼다는 이유다. 어느 한쪽이 한쪽을 흡수하는 통일보다는 서로의 체제를 인정하는 연방제로 통일을 하자는 글이 북한의 고려민주연방제 통일방안에 동조하는 것으로 판결을 받았기 때문이다.

시간이 흐르고 김대중 국민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금강산으로 개성으로 평양으로 남한사람들의 왕래가 활발해 졌고 6·15 공동선언을 통해 남한의 국가연합제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앞으로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돌이켜 보면 그 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았다.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방안에 대한 국민적 논의가 다시 시작되길 바란다. 왜곡된 질서 속에서 치러야 하는 희생을 이제는 멈춰야 한다. 분단 때문에 치르고 있는 비용이 너무 크고, 색깔론은 사회를 분열시키고 있고, 젊은 목숨들은 생명을 걸고 대치해야 하는 이 상황은 더 이상 지속 되서는 안된다.

휴전선 원시림이 압록강 두만강을 넘어 만주로 펼쳐지고 제주도까지 뻗는 꿈, 그리고 우리 모두 짐승이 되어 산과 들을 뛰노는 꿈, 새가 되어 신나게 하늘을 나는 꿈, 물고기가 되어 펄떡펄떡 뛰며 강과 바다를 누비고자 했던 문익환 목사님의 꿈을 비는 마음이 더 와닿는 겨울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