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뉴스Q

기사검색

주요메뉴

본문영역

[지역민의 사랑방, 사라지는 대중목욕탕 <下> 벼랑 끝에 선 지역 목욕업계] 기초수급자 1인당 12장 제공 목욕업계 수입원으로 돌아와 복지제도 늘어 중복지원 지적 市, 사업폐지 검토 착수하기도 업계 내년 예산편성 여부 걱정

경로 목욕권 지원도 사라지나… 근심 깊은 목욕업계

2022. 03. 24 by 서유빈 기자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목욕탕이 생존 위기에 처했다. 올해 들어 대전지역에서 운영 중인 목욕탕은 100개도 채 남지 않은 실정이다. 심지어 지속되는 경영난으로 운영을 중단했지만, 수억원대 시설 철거 비용으로 방치돼 있는 목욕탕도 부지기수다. 주말이면 가족, 이웃들로 북적이던 목욕탕. 서로 등을 밀어주던 초록색 때수건. 개운하게 목욕을 마친 후 바나나 우유 한 잔. 목욕탕의 존폐와 함께 시민들의 어린 시절 소중한 추억도 흐려지고 있다. 지역 목욕업계는 앞으로도 매년 목욕탕 10곳 이상씩이 폐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10년 후에는 더 이상 동네 목욕탕을 찾아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본격적인 사양길을 걷고 있는 지역 목욕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지원책과 대안을 고민해본다. <편집자주>

코로나19 첫해 폐업한 대덕구 B목욕탕에 매매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서유빈 기자
코로나19 첫해 폐업한 대덕구 B목욕탕에 매매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서유빈 기자

사양길에 접어든 목욕업에 ‘가뭄의 단비’였던 경로 목욕권 지원사업이 폐지의 기로에 놓이면서 지역 목욕업계의 근심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경로 목욕권 지원사업은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들의 보건 위생 증진을 목적으로 정기적인 목욕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목욕권은 기초수급자 1인당 12장씩 제공된다. 지난해 대전 관내 15만매, 올해 17만매가 배부됐다.

목욕권은 1장당 5500원으로, 전체 사업 예산은 대전시와 5개 자치구가 매칭(50대 50)해 투입한다.

그동안 65세 이상 지역 기초수급자 1만 3000여명이 목욕권을 지급받았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목욕업계는 어느 정도의 수입원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경로 목욕권 지원사업은 보건복지부 차원의 방침에 따라 전국적으로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

당초 고령층의 청결 유지 및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추진됐지만, 기초연금·생계급여 등 관련 복지제도가 늘면서 사실상 중복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서다.

실제 시는 지난해 경로 목욕권 지원사업 폐지에 대한 검토에 착수한 바 있다. 당시 검토 보고에서 목욕권 대신 현물 지원 민원이 증가하는 등 목욕 자체에 대한 욕구가 감소하고 있고, 목욕권을 양도하는 등의 사례도 적잖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경로 목욕권 제도에 대한 각 자치구 예산 집행률은 2019년 78%에서 2020년 62%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때문에 시 소관 부서는 정부 사업과의 중복성, 타 시·도의 사례 등을 감안해 사업 폐지가 바람직하다는 검토 의견을 대전시의회에 제출하기도 했다. 이후 열린 임시회에서 경로 목욕권 폐지를 두고 찬반 의견이 오가다, 일부 의원들이 노인 복지 증진의 측면에 손을 들어주면서 사업 일몰은 ‘잠시 멈춤상태’에 머물고 있다. 결국 올해 예산 편성으로, 경로 목욕권 폐지 논의는 잠시 소강상태에 이르렀지만, 지역 목욕업계는 벌써부터 내년 예산편성 여부를 걱정해야할 판이다.

정윤영 한국목욕업중앙회 대전시지회장은 "일반 사우나는 7000~8000원, 유성호텔 대중탕은 9000원 등 목욕료가 천차만별이지만, 좋은 일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목욕료 차액은 안 받고 협조하고 있다"며 "경로 목욕권이 없어진다면 안 그래도 어려운 목욕업계가 더 힘들어질 것이고, 혜택 받던 노인분들도 안심하고 목욕할 수 있도록 사업이 유지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지난 수년 동안 경로 목욕권 지원사업 일몰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 점과 현재 지원사업의 운영 현황 등을 모두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시와 구에서 전체 예산 10억이 투입돼 경로 목욕권을 배부하고 있지만, 복지부 방침에 따라 타 시도에서는 경로 목욕권 제도가 폐지되는 추세"라며 "더욱이 코로나 이후 목욕탕 이용이 어려워 반납금이 늘고 목욕권 양도 등 민원이 증가하고 있어 몇 년 전부터 시에서 제도 일몰을 검토하고 있고, 이후 필요하다면 타당성 검토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끝>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