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교육 http://chamstory.tistory.com

여성가족부가 2011년 조사했을 때 청소년 스마트폰 소지자는 36.2%에 불과했지만 2013년 초 조사한 바에 의하면 80%에 달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11년 처음으로 스마트폰중독률을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률은 11.4%로 나타났고 이듬해인 2012년 조사에서는 18.4%로 나타났다.

한국스마트폰미디어학회가 동일한 척도를 사용해 2013년 5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의 35.2%가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3명당 1명이 스마트폰중독위험군에 속한다는 결과다.

이처럼 스마트폰중독이 높게 나타난 것은 그만큼 우리사회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이용에 무관심했다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의 피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전자파 정도 뿐일까?

인터넷 중독, 게임중독으로 인한 피해가 사회적인 문제가 된 것은 이미 오래 전 얘기다. 스마트폰이 아이들의 뇌 발달이 균형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통합적 사고력과 자기조절력이 발달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거북이목 증후군, 스마트폰으로 인한 수면부족과 같은 문제는 스마트폰을 해 본 사람이라면 그 심각성을 알고 있다.

우울한 기분이 들거나 불면증, 무기력증 주의집중력, 기억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 저하와 자기비하, 피해망상과 같은 비관적 생각이 나타나는가 하면 체중 및 식욕 변화, 생기 저하, 피로감, 수면장애(불면증, 과다수면), 소화불량, 두통, 면역력 저하 심지어 눈꺼풀이 파르르 떨리거나 입 주변이 실룩거리는 증세 등 정서불안 증세까지 나타나기도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1년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률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8.4%로, 인터넷 중독률 7.7%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인터넷 중독자의 25.0%가 스마트폰 중독을 함께 갖고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디지털기기에 친숙한 10대가 11.4%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10.4%, 30대 7.2%, 40대 3.2% 순이었다. 중독자들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8.2시간으로 대부분 게임이나 채팅이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다. 미디어에 대한 피해를 인터넷에서 검색해 스마트폰 피해 한가지만 해도 이 정도뿐만 아니다.

오늘날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묻지마 범죄며 강력범죄가 미디오로 인한 영향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 저는 이미 15년 전인 2001년 3월 청소년들의 미디어 교육에 대해 경남도민일보에 그 심각성을 지적한 바 있지만 아직도 학교에서는 체계적인 미디어교육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 학교는 언제까지 현실에 눈감고 원론만 가르치고 있을 것인가?

(이 글은 5월 29일 작성됐습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