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이번 주가 신행정수도 건설이 무산된 데 따른 후속 대책의 틀을 만드는 중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 국회 행정수도 특위가 구성된 데 이어 오늘 오후 국회에서는 충청권 국회의원과 3개 시·도 광역단체장, 의회의장단, 시민단체 대표 등 44명이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한 워크숍을 갖는다. 오는 16일에는 국회 국가균형발전연구회가 국회의원을 상대로 한 대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갖는가 하면 청와대 주도로 열리게 될 원로 지식인들과 시민단체 대표에 대한 간담회도 이번 주 초로 예정돼 있다. 여기에다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위원회는 17일부터 행정수도 후속 대안을 압축하는 작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지금까지 행정수도 후속 대안으로는 인구 50만명 규모의 행정특별시와 행정 중심 도시, 교육·과학 행정도시 등 3개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행정특별시는 청와대를 제외한 행정기관이 이전하는 것으로 당초 정부안과 가장 근접하는 대안이다. 행정 중심 도시는 청와대와 국방, 외교 부처를 제외한 상당수 행정기관이 이전하는 방안을 말한다. 교육·과학 행정도시는 행정기능은 약하지만 공공기관과 대학이 입주하는 것으로, 경제적 효과를 높인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가 현지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기·공주지역 예정지 2160만평을 매입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도 특기할 만하다.

하지만 '행정수도 원안'을 논외로 하려는 모습이 역력해 실망감을 안겨 주고 있다. 신행정수도 후속 대안은 충청권 주민들의 심정을 제대로 헤아릴 수 있어야만 정답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다. '행정수도 원안'을 배제한 채 논의를 해 어떤 결론에 도달한다고 한들 그것이 어떻게 진정한 의미의 '국민 합의'일 수 있겠는가. 오히려 국민 분열만 가속화시킬 뿐이다.

서울 여의도 공원에서 규탄 집회가 두 달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어제 대전과 충남·북의 광역·기초 의원들의? "원안대로 하라"는 호소만 봐도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향후 진행되는 공론화 과정에서는 '행정수도 원안'이 조속히 포함되길 바란다. 동시에 충청권이 입은 직·간접적인 피해? 보상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