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기 논설위원

TV 화면을 통해 '욘사마'를 열광하며 눈물을 글썽이는 중년 여성들을 보면서 한국 대중문화의 위력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된다. 현재까지 동아시아의 중국·일본·대만·베트남 등 여러 국가들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강한 긍정적 반응과 함께 한국상품 구매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류' 열풍은 TV 드라마로 인해 확산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한류 열풍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지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이들 나라의 각종 언론매체는 물론이고 팬시용품점이나 문구점에서는 한국 연예인 상품들이 단연 최고자리를 점하고 있다. 팬시용품점은 한국 연예인들 관련 사진과 소품들로 도배되다시피 했다. 한류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표현문화를 형성하면서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와 춤, 드라마, 영화, 패션, 음식 등 한국 대중문화에 열광하게 하고 있다. 본래 '한류'란 동아시아 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을 뜻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유행에는 휴대폰이나 자동차 등 공산품은 물론 음악, 영화, TV 드라마 등 각종 문화적 요소들로 인해 창출되고 있는 한국의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종 언론은 물론 정부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기도 하다.

'한류'는 단순히 일시적 바람의 수준이 아니라 보다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거대한 하나의 '흐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한순간의 유행 같았던 한류현상이 이처럼 엄연한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하면서 관광산업의 패턴과 판도까지 바뀌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력과 문화적 역량이 그만큼 발전한 결과로서 이제 외화 획득은 물론 동아시아 제 국가에서의 국위 선양이라는 측면에서도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류 열풍이 아무리 거세다고 하더라도 아직 낙관하기는 이르다. 사소한 돌발변수에 의해서도 금방 식어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우리의 대중문화가 동아시아지역의 새로운 대중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때는 문화적 사대주의의 피해자로 우리 문화를 평가한 지가 불과 수년 전의 일인데 이제 우리의 대중문화에 열광하는 동아시아인들을 보면서 문화 종주국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질만도 하지만, 안이하고 오만한 사고방식에 사로잡혀서도 안된다. 보다 넓은 문화인식을 통해 한류 열풍을 지속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동안 한류현상을 심드렁하게 바라보던 자세에서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그저 한순간 지나가는 흐름으로 방치해서는 안된다.

우리의 대중문화가 동아시아지역에서 제대로 정착될 때 우리 상품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게 된다. 그런 면에서 최근 일부 호텔과 업계에서 다양한 마케팅전략을 가지고 한류 열풍을 활용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한 일이다. 한류 열풍이 내수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류를 장기적으로 마케팅활동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현재의 한류자산만을 이용하려고 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류를 육성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한류도 기업의 브랜드와 같이 국가적인 무형자산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관리하지 않으면 그 가치가 소멸되고 만다. 기업과 정부기관 등이 관리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한류 열풍으로 인한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