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이영선 청주시 농정국 산림과

지난해 9월이었다. "가덕에 사는 주민인데요., 벌채 같은 건 앞으로 허가해 주지 말아요! 너무 보기 싫어요. 뒷산에 나무가 울창했었는데 다 없어지고, 산이 엉망이 됐어요."

나라도 내 뒷산이 벌채되면 싫을 텐데, 하물며 그곳에서 태어나 자란 주민들 눈에 그 모습이 좋아 보일 리 없다. 하지만 담당업무의 당위성을 되뇌이며, 벌채한 곳은 곧바로 나무가 심겨진다는 설명을 열심히 해 드리고 전화를 끊었다.

산은 푸르른 게 당연하고 사람은 늘 자연을 그린다. 숲에서는 피톤치드가 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고 정서적 안정을 찾게 하며, 높은 음이온으로 인해 편안함을 느끼면서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두통, 메스꺼움, 눈의 건조, 호흡기 질환과 알레르기 등 각종 현대적 질환을 자연 치료해주고 크게는 대기 정화, 수자원 함양, 토사 유출 방지, 야생 동물 보호 그리고 보건 휴양 등 인간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109조원으로 국민 1인당 연간 251만원 상당의 산림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국민 총생산의 약 10%에 달한다고 한다.

1960~1970년대 집중적인 나무심기와 이후의 지속적인 숲 가꾸기를 통해 황폐한 산림은 울창하고 아름다운 숲으로 변했다. 산림의 생물 다양성과 생산력은 매우 좋아졌다고 하나 어린 나무의 비율은 급속히 줄고 30년 이상 된 나이가 많은 나무의 비율은 크게 증가해 나무 나이의 불균형이 심해졌다. 이것은 1980년대 후반 이후 급격하게 벌채가 줄고 그에 따른 조림 또한 줄었기 때문이다. 산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현재부터 미래 세대까지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산림을 경영한다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라는 국가적 명제의 실행에 큰 부담이 되어버린 것이다.

결론적으로 적극적인 벌채와 조림의 병행이 필요한 한계점에 다다른 것이다. 벌채가 가능한 수확기에 도달한 목재를 연간 생장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환경 친화적으로 벌채하고 그곳에 새로 나무를 심으면 산림의 생산력을 유지하면서 계속 재생산이 가능하다. 중년이 된 나무의 일부는 솎아 베어 장차 우량한 목재로 키우면서 다른 다양한 식생이 들어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장년이 되었거나 갱신이 필요한 숲은 과감히 벌채한 후 어린 숲으로 다시 조성해야 한다. 공익 기능을 위해 보전해야 할 곳은 그대로 보전하면서 경제적으로 육성이 가능한 지역에는 벌채 후 조림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면 산림 생태계가 파괴되거나 목재자원이 고갈되지 않으면서도 생산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는 얘기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관련 법규정과 친환경적인 벌채를 위해 관련 지침을 개정하고 열심히 홍보를 하고 있다. 건당 벌채 최대면적을 현행 50㏊에서 20㏊로 대폭 축소하고, 벌채 후 남겨지는 수목은 작은 숲의 형태로 존치하도록 해 벌채지역의 산림생태와 유전자원을 다양하게 보전할 수 있도록 개선안을 추진하고 있다. 벌채로 인한 경관훼손 최소화, 토사유실 방지, 생물종다양성 유지, 야생동물의 서식처 훼손이 없도록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정비하는 것이다.

숲에는 수자원 함양, 국토 보전, 산소 공급, 휴양 장소 제공 등의 기능과 함께 목재와 임산물을 공급하는 경제적인 기능이 분명 있으며 이를 낭비하거나 무시해서도 안 될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무를 자르지 않는 것이 능사가 아닌 것은 확실하다. 다음 세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목재생산이 가능하도록 환경측면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산림소유자와 지역주민, 지역사회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벌채와 조림의 기반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시민들께서도 조금 더 따뜻한 시선으로 지켜봐 주시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