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세평]강영일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단군 이래 최대 국책사업’, ‘우리나라 육상교통의 혁명’ 등 다양한 수식어가 붙은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이 1992년 6월 첫 삽을 뜬지 23년 만인 이달 말경, 대전·대구도심 통과구간 완공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대전도심구간과 대구도심 구간은 경부고속철도 전체 노선 중 유일하게 고속철도와 일반철도가 함께 사용하는 노선으로, 도심구간 진출입 시 상습적인 열차 병목현상이 발생해 왔고, 이는 배차간격 증가 및 열차지연의 주요 원인이 됐다. 이에 우리공단은 1990년 최초 계획 수립 시부터 대전 대덕구 오정동에서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까지 총 18.2㎞의 고속전용선을 신설하는 대전도심구간 건설사업을 추진했으나, 지상화냐 지하화냐에 대한 지자체와의 이견으로 14년에 걸친 장시간의 협의 끝에 2004년 5월 비로소 도심구간 철도변 정비를 병행한 지상화 건설방식으로 확정됐다.

실시설계를 거쳐 2009년 3월 착공한 본 사업은 고속철도 전용선 건설 외에 그동안 경부선 철도로 단절됐던 16개의 지하차도 등을 신설, 확장하고, 철도 연변 대규모 완충녹지(4만 7000㎡)와 측면도로(7.91㎞)를 개설하는 철도변 정비사업을 시행, 본선구간은 올해 6월말 완공했고, 정비사업은 연말 완공을 목표로 막바지 공사 중이다.

이 사업이 완공되면 철도운영자, 이용객, 지자체와 지역주민 모두에게 분명 큰 혜택이 될 것이다. 우선, 철도운영자와 이용객의 입장에서 보면, 고속철도 전용선이 건설됨으로써 고속·일반열차가 동일한 선으로 진출입하여 생기던 병목현상이 해소되고 최소 4분 간격의 열차 투입이 가능해져 주말 좌석확보가 수월해짐은 물론, 상습적으로 발생하던 열차 지연문제도 근본적으로 해소될 것이다.

지자체와 지역주민 입장에서는 철도변 정비사업을 통해 건널목, 육교 등 노후된 기존 횡단시설을 철거하고 지하차도를 확장, 신설함으로써 차량과 사람의 안전한 통행이 확보되고, 상습적인 동·서간 교통체증이 해소됨은 물론, 녹지공간 신설, 투명방음벽 설치 등 도시미관과 주거환경 개선을 통해 지역주민 삶의 질도 대폭 향상될 것이다.

또한, 대전지역에서 철도변 정비사업을 추진하면서 약 5000억원을 투자, 1조 605억원의 생산 및 임금유발효과와 6456명에 달하는 고용유발효과 등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었으며, 대전시 위탁구간은 19개 공구로 나누어, 총 92개의 지역업체가 공사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이에 따른 낙수효과가 대전지역 건설업체와 시민들에게 돌아가도록 했다.

이외에도 면적이 좁아 이용객 불편을 초래했던 대전역사도 서비스 수준 개선(B등급)을 위해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증축공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지자체에서는 역사를 중심으로 도시재정비촉진지구(88만 7000㎡)를 지정하여, 기반도로 시설, BRT 복합환승센터, 상업시설, 아파트 등을 건립하는 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등 철도변 정비사업이 원도심 활성화의 기폭제로 작용하고 있다.

경부고속철도 대전도심구간 본선 완공과 아울러 올해 완공 예정인 철도변 정비사업은 지자체와 중앙정부 간에 상호 협조를 통한 지역개발사업의 성공적인 모델로 다른 사업의 본보기가 되기 위해서는 인허가권을 가지고 있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그 옛날 넓은 한밭벌에 경부선 철도가 놓이면서 지금의 대전으로 발전했듯이 한 세기 후 경부고속철도가 만들어낼 또 다른 대전, 철도와 지역이 함께 상생하는 새로운 모델로 성장한 대전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