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세평] 홍준기 충북도중앙도서관장

시골 중학교 교장선생님인 주 선생의 옛날 별명은 '쭈선생'이다. 주(酒) 씨가 아니고 주(周) 씨다. 그래서인지 술도 못(안) 마신다.

회식 때는 동료들 배달 전문이다. 재치 있고 사려 깊고 필력도 있다. 특기는 메모를 잘하는 것이다. 시골 학교를 아기자기하게 운영하고 있는 주 선생이 얼마 전 자신이 엮은 책을 한 권 보내 왔다. 교직의 종점을 목전에 두고 그간의 메모들을 바탕으로 인생 산책길을 되돌아 본 책이다. 책 제목도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나이테 하나 긋다·문득, 가던 길 멈추고’.

이렇게 제목을 말하는 것은 책 광고를 위해서가 아니다. 책 내용 가운데 '교직의 서글픈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이 있어 소개하기 위함이다. 주 선생이 되살리고 싶지 않은 교직의 서글픈 모습, 그 내용은 이렇다.

10여 년 전, 주 선생은 생각지도 않았던 송사(訟事)에 끼어들게 되었다.

전임학교에서 함께 근무하던 한 교사가 학부모로부터 1000만 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당하게 되었는데, 주 선생에게 법정 증언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당시 주 선생은 생활지도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거기서 좀 '특이한' 학생을 접하게 된다. 그 학생의 어머니는 남달리 학교를 자주 들락거렸고, 아들을 '아가'라고 부르는 역시 '특이한' 엄마였다.

주 선생의 표현대로 하면 그 '아가' 학생은 선생님과의 대화 중에도 분노 조절이 되지 않아 부르르 떨기도 하는 '예민한 성격'이었다. 학교에서는 그 학생과 관련된 크고 작은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기어코 학생들끼리의 폭력사건으로 그 학생은 '자퇴(自退)'를 하게 된다. 자신의 의사에 따라 자퇴를 하고도 그 학생은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자퇴를 강요당했다며 학교 측의 사과를 요구했다. 주 선생은 그 학생과 자퇴냐, 강요에 의한 퇴학이냐를 두고 인터넷 상에서 논란을 벌인다. 논란 끝에 그 학생은 결국 자신의 주장을 접고 본인의 의사에 의한 자퇴임을 분명히 했고 선생님들께 사과도 했다. 주 선생은 그때도 자신의 '특기대로' 그 학생이 올렸던 사과의 글을 프린트하여 보관해 두었던 것이다. 재판정에 선 주 선생은 당시의 출력물을 증거물로 제출함으로써 송사는 끝이 났다. 메모가 특기였던 주 선생이 출력해 보관했던 종이 한 장은 이래서 1000만 원짜리가 되었던 것이다. 재판 과정에서 주 선생의 심경은 매우 착잡했다. 스승과 제자가 변호사를 사이에 두고 갑론을박하는 상황이 너무도 괴로웠다. 어쨌거나 제자인데 그 아이를 위해 자신이 마지막으로 한 일은 "네 입 다물라!"였기에 주 선생의 괴로움은 더욱 컸다. 이 글의 끝에 주 선생은 이제 20대 중반일 그 학생에게 "진정 죄송한 마음이 가득하다"고 적고 있다. '미안한'도 아니고 '죄송한'이다. 가히 내가 아는 주 선생다운 표현이다. 하지만 30년 넘게 교실 주변에서 서성거린 필자로서는 결코 동의할 수 없는 표현이다. 교사로서 착잡한 심정은 이해가 가지만 그 학생에게 죄송할 것은 없다. 학교에 찾아와 콧수염 난 아들을 '아가'라고 부르는 '특이한' 엄마 밑에서, 아이는 결국 '특이하게' 큰다. 해마다 맞는 스승의 날, 선생님들은 나름대로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보낼 것이다.

"교직선택은 참 잘 한 일이야! 정말 보람 있어!"

"차라리 관둘까? 참아야 하나?"

고민이 없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교사가 당당할 때 아이들은 '특이하지' 않게 바로 큰다는 사실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