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마당] 조원오 원불교 충북교구장

우리나라 사회갈등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종교적 갈등이 심한 터키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민주주의지수, 정부의 갈등관리능력, 소득불균형정도 등을 측정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회갈등지수는 0.72로 회원국 평균치 0.44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갈등을 해소하는 일에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는 사회갈등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데 따른 경제적 손실비용이 적게는 연간 82조원에서 많게는 24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사회갈등지수가 10%만 낮아져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8~5.4% 높아지고 OECD 수준으로만 개선되더라도 GDP가 7~21%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나라의 발전, 국민 모두의 행복과 안전을 저해하는 사회갈등 요인은 각종 유언비어, 국민윤리와 도덕성의 결핍에 있다. 또한 소통이 부족한 정부와 지자체,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는 기업, 지역주민의 이기주의, 계층간·세대간 불통이 사회적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다.

사회갈등 요인은 더 있다. 빈부갈등, 노사갈등, 노노갈등에 이어 당면한 과제 가운데 하나가 좌·우 이념간의 갈등과 대립이다. 한국보건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정치적 좌·우 성향비율은 좌파가 우파에 앞서있는 유럽 국가들에 비해 5대 5로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좌파·우파의 갈등은 그 영향이 사회 전반에 미쳐 각종 선거나 정책 결정에 있어 이념갈등과 사회혼란을 빚는 등 나라의 발전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적 갈등과 이념적 대립을 해소하는 일에 국민 모두가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종교계와 시민단체도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반목과 대립으로 상처를 주는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고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선진국 진입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갈등해소의 기능을 담당해야 할 정치인들이 허황된 공약을 남발하거나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등 사회적 갈등을 부추기는 일은 없어야 한다.

갈등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적절한 갈등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켜 발전의 에너지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상대방을 인정하고 타협할 줄 아는 성숙한 국민의식이 자리매김 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요즘 경제성장과 과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쓰리-업(3-Up), 쓰리-다운(3-Down)이 건강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두뇌활동, 사회활동,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체중, 혈압, 혈당은 낮춰야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다.

100세 시대에 맞는 슬로건이다. 반목과 갈등이 없는 행복한 대한민국,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갈등지수는 낮추고 행복지수는 올려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