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이 타 지역 지방은행의 각축시장이 되고 있다. 충청지역에 향토은행이 부재한 탓이다. 전북은행이 충청권에서 그 위세를 떨치고 있는데 이어 부산은행도 대전에서 영업을 개시했다. 일면 금융소비자 입장에선 서비스의 다양화 등 기대효과가 있는 게 사실이지만, 한편으로는 지역자금 역외 유출 등의 역작용 또한 간과할 일이 아니다. 충청권에는 없는 지방은행, 이로 인한 지역경제 득실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다른 지역 지방은행이 충청권에서 금융 사업을 하는 것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 '영업의 자유'에 속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충청권은 다른 지방은행의 '테스트베드(Test-bed)'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전의 경우, 이른바 지방색이 요란하지 않아 영업하기가 비교적 쉽다는 특성이 작용한다. 대전에서 일단 금융상품의 검증을 거쳐 세종시 및 충청권에 이어 더 큰 지역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발판 역할로 주목을 받는다.

전북은행의 경우 대전에 첫 진출(2008년) 6년만에 괄목할만 성과에 힘입어 영업점을 세종 포함 8개로 늘렸다. 이젠 부산은행이 광주에 이어 대전으로 눈을 돌렸다. 기업이 미래지향적인 가치에 진출하는 건 당연하다. 기존 시중은행 그리고 지방은행 역할을 자처하고 나선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 간의 일대 격돌이 불가피해졌다.

지역금융시장의 이러한 상황은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 통로 및 지역이 다변화되고 있다는 반증이어서 뒷맛이 개운치 않다. 지난 국감에서도 지적됐듯이 지역 경제규모 증가에 걸맞은 총액한도대출 또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중소기업 대출비율이 대전·충남(42.9%), 충북(48%)로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중소기업 의무대출비율을 높게 적용하는 지방은행이 없는데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지방은행 부재에 따른 불이익은 한둘 아니다. 선거철이 되면 지역경제 주권 회복, 균형발전 촉진, 지역정책 및 역량 강화 차원에서 향토은행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곤 하지만 공론화 단계에선 끝내 힘을 얻지 못하고 사라지고 마는 경로를 반복하고 있다는 건 퍽 역설적이다. 지역 간, 정치세력 간 이니시어티브를 서로 쥐려는 모습도 보이고, 그 과정에서 지역민 공감 확보를 위한 절차 등의 미숙한 측면 등 여럿이다. 따지자면 지역의 태생적인 한계 또한 넘어야 할 벽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