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 요인 60명에 대한 본보의 출신 지역 분석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예상대로 주요 직책을 특정지역 출신들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현상은 소위 권력기관장으로 불리는 직책에서 더욱 심각했다. 특정지역은 영남지역 등을 일컫는다. 편중인사가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은 경험이 입증해주고 있다. 연말께 박근혜정부 3기 개각이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개각에 앞서 명심해야할 부분이다.

정부조직 17부5처16청/2원5실6위원회의 장관·차관급 외청장·여당 대표 등 정부 요인 60명 중 무려 26명(43%)이 영남 출신이라고 한다. 한 나라의 장·차관급 요인 절반가량이 특정지역 출신이라는 건 지나친 면이 없지 않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7개 정부부처 장관 중 6명이 영남출신이다. 핵심 요직에는 더 많이 포진돼 있다.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대통령비서실장과 대통령경호실장의 고향이 영남이다.

뿐만 아니다. 감사원장 국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세청장 등 5대 권력기관장 중 4명이 영남 출신으로 편중인사의 극을 이룬다. 그렇다면 충청출신은 얼마나 기용했을까. 충북 출신 3명이 장관에 임명됐을 뿐 대전·충남 출신 장관급 인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정 지역이 권력의 핵심을 차지하는 통에 충청권은 요직을 차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그래서 대전·충남 소외론이 제기되는 것이다.

정권의 안정과 미래를 위해서는 지역편중 인사를 경계해야 한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출범부터 시작된 영남편중 인사가 더 고착화되는 느낌이다. '내 사람 심기'는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종국에는 국정혼란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특정 지역 출신이 권력을 독점하면 전횡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권력기관 상호간의 건전한 견제와 긴장관계 형성 차원에서도 폭넓은 인사가 필요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역과 성별, 세대를 골고루 아울러 등용하는 '대탕평 인사'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래야 국론분열을 막을 수 있다. 연말 개각설이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대폭개각이 될지 소폭에 그칠지는 모르겠으나 이주영 해양수산부장관이 이미 사의를 표명해 개각은 불가피하다. 인사권자는 개각에 앞서 본보의 정부요인 출신지역 분석 결과를 참조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