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내 장기 공사 중단 건축현장이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일부 건축현장은 수십 년 동안 공사가 중단되면서 경고등을 켠 상태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 이상 방치된 충남지역 건축현장은 62곳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충북(45곳)이 세 번째로 많았고 대전 12곳, 세종은 1곳이었다. 이 중 절반이상은 10년 이상 공사가 중단됐으며 공주의 상업용 건물은 무려 27년이나 방치되고 있다.

안전등급은 보통 A급(우수), B급(양호), C급(미흡), D급(불량)으로 나뉜다. 대전·충북의 경우 안전에 우려가 있는 C급이 각 2곳인데 반해 충남은 즉각적 조치가 필요한 D급이 15곳이나 된다. 그런데도 절반가량만 안전조치를 취했을 뿐 대부분은 아예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한다. 문제는 '사후약방문식' 임시처방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자체마다 안전점검 횟수에만 골몰하다보니 내성만 키우고 있다는 얘기가 아니겠는가.

공사 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의 경우 지반과 구조물 붕괴, 지하수 용출 등의 위험을 안고 있다. 또한 주민은 물론 통행인 안전에도 위협을 준다. 때문에 실질적인 정비계획 수립과 즉각적인 안전조치가 선행돼야 마땅하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지방자치단체들이 안전을 외치고 있지만 연이어 터지는 대형 사고를 보면 안전 수준이 되레 더 떨어진 것은 아닌지 자조하게 된다. 누차 강조하건대 도처에 깔린 안전 불감증을 각성, 재각성할 때다.

장기방치 공사 현장은 향후 무슨 일이 터질지 모르는 위험요소다. 누구나 예견할 수 있는 위험보다는 누구도 예견하지 못하는 위험이 정말 큰 위험이다. 무심코 넘겼던 수십 수백 가지 요인이 합쳐져 대형 참사가 빚어진다. 과연 국민의 안전 확보라는 임무를 얼마나 진지하게 수행해왔는지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일선 현장에서 손을 놓고 있으면 공염불에 그치기 마련이다. 이를 모를 리 없건만 어물쩍 넘기는 건 말뿐인 국민안전에 다름 아니다.

사고의 위험성은 어떤 건설공사현장도 예외일 수 없다. 언제 무슨 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것이다. 근본부터 뜯어고치는 수밖에 없다. 결과만 중시하고 과정은 경시하는 고질병을 도려내야 한다. 가까운 것부터 손써 안전사회의 기틀을 짜는 데 국민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관계 기관의 조속한 공사 현장 안전점검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