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사회부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이 기약도 없이 흔들리고 있다.

대전시가 사업 참여의사를 밝힌 민간사업자들에게 과학참여 프로그램 및 지역기여 확대 등 ‘무리한 사항’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런 요구는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에 도전장을 낸 신세계와 롯데 등 2개 컨소시엄은 이미 지난 7월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상황에서 이뤄졌다. 거액의 돈과 노력이 수반되는 2개 업체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미 제시한 기준을 손바닥 뒤집듯이 하는 소위 ‘갑(甲)질’을 한 셈이다.

이를 통해 당장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이 기약없이 연기되고 있으며, 업계 역시 편치만은 않은 기색이다. 유니온스퀘어 사업 실패로 부정적 여론이 적지않은 가운데 대규모 상업시설의 지역입지라는 지역민의 열망에 찬 물을 끼얹을 수도 있는 사항이다.

문제는 줄곧 지적된 ‘과정없는 행정’이 이번 사례에서도 또 재연됐다는 점이다. 민선6기 인수위원회 격인 시민경청위에서 나온 ‘사이언스콤플렉스 사업에 공공성과 과학성을 확보해야 된다’는 의견이 이미 정해진 사업 로드맵을 뒤흔들었다.

새로운 시장이 선출됐기 때문에 시장 측의 입장이 그러하기에 그동안 이뤄진 수 많은 논의와 의견조율, 행정력 투입의 과정이 재차 검토됐다.

시에 묻고 싶다. 수 년에 걸친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 구체화 과정에서 과연 공공성과 과학성 재고에 대한 논의가 없었는지, 지금 시가 강조하는 공공성과 과학성이 그저 일부 고위관계자의 ‘정치적 결정’에 따른 것은 아닌지.

과정 없이 목적만 남은 사업이 민선6기 대전시에서도 차차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이에 대한 자성의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시는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의 성공적 수행과 함께 도시철도 2호선의 참모습을 가리기 위한 작업도 진행 중이다. 시민의 혈세로 만들어진 사업들이 더 이상은 목적만 남은 흉물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