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기획취재 충남 도시농업 희망품다] 5 활성화 방안… 일본 도시농업 전문가 인터뷰
천안·아산등 도시권 녹지공간 부족
도내건물 '옥상텃밭' 조성 거의없어

▲ 일본 아다치구 도시농업공원 전경. 이주민 기자

충남도의 농업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가 2010년 민선 5기부터 지휘봉을 잡은 뒤 3농혁신이라는 타이틀 아래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충남의 도시농업은 여전히 출발점에 서성이고 있다.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이끌어내기는 사실상 불가능이다. 이미 서북부권역의 경우 도시화와 공업화가 가속, 농업을 위한 대규모 사업을 구상한다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렇다고 도시농업을 흉내내는 데 머물 수만은 없다.

그럼에도 눈을 조금만 더 크게 떠보면 충남도 앞으로 어떻게 방향을 잡아야 할지에 대한 답은 있다. 도시농업이 전 세계적으로 이미 붐을 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성장 속도는 선진국일수록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홍보로 접근

도시농업이라는 단어 자체가 아직 도민 귀에 익숙지 않다. 1편에서도 제시했듯이 아직 도심 속에 농원이나 농장을 만드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탓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미래를 향한 청사진과 왜 농업과 녹지 공간이 필요한지에 대한 개념부터 정리해야 한다. 도시농업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도시의 놀이터부터 시작해 옥상에서 농사가 이뤄지는 것 등등. 주말농장 등 분양을 받아 텃밭을 일구거나 도시민을 위한 쉼터나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곳 등이다.

이런 정의 속에 우리가 도시농업을 하는 공통된 목적은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해서다. 도시화·공업화 확산을 막는 것도 도시 농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라져가는 자연을 보호하고, 더욱 쾌적한 생활에 농업을 결합하자는 데 있다.

충남도는 아직 이런 개념 정립이 미미하다. 장기적 목표를 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도시농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향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로 전락할 수도 있다. 도시농업을 왜 해야 하는지, 도시농업을 통한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내놓는 게 우선되고, 방향을 설정한 후 시민에게 그 중요성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천안·아산 등 도시화 지역부터 천천히

청양·부여·금산 등 남부권역은 아직 농사를 지을 땅이 많다. 하지만 천안이나 아산 등 도시권으로 형성된 지역의 경우 농업에 대한 인식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가장 빠른 방법은 도시 농원을 당장 들여 놓기보다는 기존에 있는 놀이터나 공원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공원을 활성화하는 예산을 조금씩 확대한다면 녹지 공간 역시 시민들 품으로 돌아갈 수 있다. 민간 자부담 비율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시·군의 도시농원에 따른 예산은 ‘0’이나 다름없지만, 그 폭을 점층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때문에 한정된 예산으로 새로운 부지를 확보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도 관계자는 "도시농업을 할 만한 소유 부지는 없다"면서 "개인소유 부지가 있지만, 지가가 워낙 비싸기에 이를 매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도심에 여유 부지가 없는 천안시나 아산시의 도시농업 돌파구는 '옥상'이다. 지역 도심지역에는 수천여개의 기업 건물이 있고, 주택의 60%가 아파트로 구성돼 있다. 이들 옥상에 텃밭을 조성한다면 규모 면에서 농원, 공원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농지가 확보되는 셈이다.


◆민간형 도시농업 집중

이번 시리즈에서 제시했듯이 건물 옥상에 도시농업 활성화는 기업과 시민의 역할이 크다. 이는 지자체 재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욱 절실한 부분이다.

하지만 현재 도내 기업 건물 중 도시농업을 추진한 곳은 거의 없다. 휴식공간을 위한 형식적인 조경만 갖춘 게 전부이다. 아파트의 경우 최근 들어 1~2군데만 옥상에 채소 재배를 시작할 뿐, 대부분 옥상은 자물쇠로 잠긴 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 전문가들은 “어린이집과 개인주택, 학교를 중심으로 텃밭 조성은 호응이 높아지고 있지만, 기업체 또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도시농업은 아직 진행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어떻게 하면 기업과 아파트의 옥상 부지를 도시농업에 이끌어낼 수 있을까에 대한 문제는 숙제로 남을 전망이다. 기업·아파트에서 도시농업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는 농업에 대한 인식 부족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이익과 효과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시민·NGO·행정이 삼박자를 갖춘 '윈윈' 전략이 필요하다.

충남도가 총체적으로 나서 기업과 아파트 주민과의 협의를 통해 도시농업의 장으로 이끌어내야 한다. 또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행정적인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업에는 도시농업을 조성함으로써 이미지 홍보를 보장해 줄 수 있다. 아파트 주민들을 위해서는 '살기 좋은 아파트' 지정을 통해 자부심을 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기업과 아파트와 도시농업 협의를 통해 시범적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효과를 체감하게 되고 알려지게 되면 물꼬가 터질 것”이라고 말했다. <끝>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

※본 기획취재는 충남도의 '지역언론지원' 기금을 지원받아 이뤄졌습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