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참사로 이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마지막 한 명의 생존자까지 구조에 희망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성은 줄어든다. 시간과의 싸움인 것이다.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실종자 가족들을 생각하면 여유가 없다. 민·관·군이 유기적으로 협조해 구조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평소 관리해온 위기관리시스템을 십분 활용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해야겠다.

전남 진도군 병풍도 20㎞ 해상에서 459명을 태운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배에는 제주도 수학여행에 나선 고교생 325명이 탑승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이 사고로 선사 여직원 1명과 고교생 1명 등 5명이 사망했다. 인명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지만 전해지는 소식은 우울하다. 어제 오후 8시15분 현재 290명이 실종된 것으로 집계돼 대형 참사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형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미온적인 대처가 도마에 오르곤 한다. 이번 사고도 예외는 아닌 듯하다. 여객선이 사고 신고접수 한 참 전부터 사고해역에 정지해 있었다는 목격담이 나오고 있다. 최초 신고접수 또한 승무원들이 아닌 탑승객이 휴대전화로 알렸다고 한다. 늑장보고를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일분일초가 급한 지경에 만의하나 늑장보고로 인명피해를 키웠다면 그 책임을 누가 질 건가.

구조된 이들은 배 안에 물이 들어오는데도 선내 방송에서는 '그 자리에 가만히 있으라'는 말만 나왔다고 증언했다. 이 바람에 선실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탑승객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집계 과정에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은 화를 불러일으킨다. 경기도교육청은 한 때 전원구조라고 학부모들에게 통보했다가 원성을 샀다. 정부도 실종자와 구조자 수를 한동안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양태를 보였다.

1993년 10월 전북 부안군 위도 해역에서 침몰해 292명의 사상자를 낸 서해훼리호 사건의 악몽이 떠오른다. 이런 참사는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해 구조에 최선을 다해주길 기대할 뿐이다. 국가 위기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