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홍표 경제팀 차장

지역 건설사들은 올해도 고행길이 예약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 주택경기는 어느정도 온기가 감돌고 있지만 건설시장 만큼은 냉랭하다못해 더욱 얼어붙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 만난 지역 한 중소 건설사 대표는 “요즘 같아서는 사업을 접고 싶다”고 서슴치 않고 말할 정도로 건설경기는 최악 중의 최악이다.

그도 그럴것이 올해 지역 발주물량은 세종을 제외하고 처참하다. 특히 올해는 선거까지 맞물리며 건설사들을 위한 조기발주 물량을 푸는것 자체가 지자체들에게는 언감생심(焉敢生心)이다. 실제로 올해 대전시의 공공공사 발주예정 물량은 총 1582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788억원 줄어 들었다.

충남도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올해 발주예정 물량은 1636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무려 1754억원이 줄어들어 사실상 공공공사 발주예정 물량이 반토막 났다.

그나마 LH와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규모의 발주예정물량을 발표했지만 이마저도 세종과 일부 충남지역에 한정돼 지역 건설사들에게는 생존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반면 세종시의 올해 공공공사 발주물량은 1008억원으로 지난해 362억원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지난해까지만 해도 간헐적이던 지역 건설사들의 세종러쉬는 올해 들어서 본격화되고 있다.

지역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1건의 관급공사도 수주하지 못한 곳은 대전 206개 건설사 가운데 76개사, 충남·세종 735개사 중 171개사로 조사된 이후 올해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게 맞을 것이다. 일반, 전문할 것 없이 모든 건설업종에서 일감부족은 현실화 되고 있다.

이같은 건설업계의 어려움은 건설사의 폐업 등으로 인한 감소로 이어지며 지역 건설업계의 어두운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점은 정부의 각종 부동산 정책 등으로 지역 부동산 시장에도 온기가 돌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대전·충남에는 수년간 팔리지 않은 단독주택용지, 준주거용지 등 땅들이 주인을 찾아 가고 있어 지역 건설업계도 이같은 현상을 고무적으로 보고 있다.

올해 당장 큰 변화를 맞이하기에는 무리수가 있겠지만 내년 아니 내후년을 기약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 경제에서 약 20%를 차지하고 있는 건설산업이 이제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야 할 때가 왔다. 그들에게도 수년간 느껴보지 못한 향긋하고 따스한 봄내음을 맡을 권리가 있다.

이미 체력이 고갈될때로 되버려 사기가 땅에 떨어진 지역 건설업계에 정부도 지자체도 함께 현장의 ‘손톱 밑 가시’를 뽑아내 봄내음을 맡을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 이제 건설사들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뛸 수 있도록 해야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