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근 온라인뉴스부 차장

‘언비천리(言飛千里)’라는 말이 있다. 흔히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는 속담처럼 말의 중요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논어에도 비슷한 말이 나온다. “네 마리 말이 끄는 빠른 수레도 사람의 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사불급설(駟不及舌)이다. 그러나 이런 말도 이제 소박한 옛말이 된 듯하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세상을 빛처럼 빠르게 변화시켰다. 천리에 그칠 것 같던 말(소문)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천리만리를 넘어 전 세계 어디로든 삽시간에 퍼진다.

요즘 트위터나 페이스북, 블로그 등 다양한 SNS 미디어들을 소위 ‘발 없는 말’이라 부르는 것도 무리는 아니란 생각이 든다.

이런 빛보다 빠른 명마(名馬)만 타면 마치 원하는 곳으로 순식간에 다다를 것 같은 기대감 속에 최근 너나 할 것이 없이 SNS에 목을 맨다.

‘지방선거’라는 거사를 목전에 둔 이맘때면 더더욱 그렇다. 선거전에 뛰어드는 후보자들은 물론 그들의 지지자들까지 가세해 SNS 세상은 한바탕 전쟁을 치른다.

특히 2012년 치러진 4·11 총선부터 SNS를 이용한 선거운동이 허용되면서 출마자들은 물론 정치권까지 나서 오프라인 선거운동 이상으로 공을 들였다.

그도 그럴 것이 SNS는 그간 정치 무관심층으로 불리던 젊은 층의 정치 참여를 촉발시켰고, 결국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SNS 선거활동이 주목받기 시작한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은 54.5%였다. 이는 앞선 2006년 선거와 비교해 2.9%p가량 오른 것으로, 지방선거 첫해인 1995년 이후 역대 최고 투표율이다.

게다가 2010년 선거 당시 20대 투표율은 2006년보다 무려 7.2%p 상승한 41.1%를 기록하며 SNS의 위력을 실감케 했다. 이런 이유에서 SNS는 이후 선거에서도 후보자들과 유권자들의 소통창구를 넘어 지지자들을 조직화하는 등 선거운동의 핵심과제로 떠올랐다.

문제는 SNS의 빠른 확산성에서 생겨나는 다양한 부작용들이다. 소위 ‘친구’와의 소통에서 시작되는 SNS의 특성상 정보의 흐름이 ‘객관’보다 ‘주관’에 가깝다.

즉 같은 호감을 공유하는 SNS는 특정 이슈나 인물에 대한 편견을 높이고, 자칫 선동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SNS를 통한 비방과 중상, 마녀사냥식 루머 확산 등은 이미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대통령선거 이후 1년이 넘도록 정치권을 비롯해 세간을 뒤흔들고 있는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이 그 단적인 예다.

대선 당시 국정원은 수천 개의 트위터 계정으로 수백만 건에 이르는 글을 조직적으로 올리거나 퍼 나른(리트윗) 정황이 드러나면서 정부기관이 본분을 망각한 채 선거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처럼 SNS는 대중의 활발한 정치 참여와 국민적 소통 등 다양한 순기능만큼이나 적잖은 위험성을 내재한 양날의 칼과도 같다. 두 얼굴의 SNS. 과연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는 도구인지, 아니면 어느 순간 자신의 등 뒤로 날아와 비수를 꽂는 부메랑이 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어디든 날아가는 SNS 역시 자신의 본래 모습을 감추는 도구가 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