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 공약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정작 이 지역의 사회간접자본(SOC) 현황은 전국 대비시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나 이의 확충이 시급하다. 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이 가시화되면 현 수도권의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도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대전·충남지역은 공간적으로는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각종 기간교통시설들이 이 지역을 통과하고는 있으나 도로, 항만, 공항, 용수 등의 사회간접자본의 실태는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는 상황이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충청권으로의 행정수도 이전을 약속했으나 이 공약만 믿고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 행정수도로서의 손색없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기반시설의 조성이 선행돼야 행정수도가 이전된 이후에도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모든 입지적 여건이나 여론이 아무리 유리하다 할지라도 이 지역의 기반시설이 취약하다면 공약 자체가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7일 발표된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의 자료가 아니더라도 충청권의 국토공간 개발과정을 보면 지지부진하기 짝이 없다. 이로 인해 지역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역내 산업에 대한 지원기능도 취약하다. 실제로 산업단지의 경우 26개가 입지해 있어 전국의 13.8%나 된다. 하지만 막상 그 내용을 들여다 보면 '속 빈 강정'에 비유할 수 있다. 각종 SOC가 미흡해 총생산액의 점유비중은 3.8%에 불과, 비교적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더욱이 공항은 인근 청주공항이 유일하고 충남 서부지역에는 마땅히 이용할 만한 공항이 없는 실정이어서 무역거래나 국제화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항만시설이나 도로연장 비중이 미흡해 행정수도가 위치해 있는 지역으로서의 위상에 걸맞지 않다.

따라서 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을 계기로 이 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대폭 확충하고 공간의 균형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획기적인 기회로 이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현 수도권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이 나타나지 않도록 사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은 행정수도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이 지역 산업시설들의 수익성 증대와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선결과제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소외됐던 이 지역이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우리가 관심을 갖고 중앙부처와의 협의가 진행돼야 한다. 행정수도는 저절로 굴러 들어오지 않는다. 행정수도가 입지한 지역의 위상에 걸맞는 SOC 확충은 행정수도 이전의 전제조건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