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국가기술혁신체계(NIS) 구축방안의 30개 추진과제 중 대덕 R&D특구 조성사업이 핵심과제로 선정됐다. 그간 제시됐던 대덕 특구의 기능과 향후 발전전략을 NIS의 전체적인 구도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는 것은 괄목할 만하다. 이제 특구 규모나 예산 등에 대한 크고 작은 논란이 잠재워지고 오직 대덕 R&D특구 발전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이 보완되길 기대한다.?????

우선 정부가 세계적 수준의 대덕 R&D특구 육성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은 올바른 인식의 결과다. 종전과 같은 연구단지와 산업단지의 분리·발전 시스템으로는 더 이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대덕단지는 국내 최대 연구 역량을 구비하고도 생산기능 면에선 지역혁신 지원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자성론이 나온 지 이미 오래다. 2008년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을 위해선 효율적인 과학기술정책의 일환으로 대덕 특구의 역할 부여는 절박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결국 대덕밸리의 앞날은 R&D와 산업화 기능이 융합된 특구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연구역량 강화, 기술상업화 촉진 및 국제화 지원책이 심도 있게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덕 R&D 특구육성특별법안' 초안에도 나와 있듯이, R&D 성과 상업화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국제화를 위한 기반 조성 지원 등에 대한 당초 방안이 왜곡·축소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특구 육성에 관한 정책사항 심의를 위한 '대덕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실무지원을 위한 '추진기획단', 통합 지원을 위한 '대덕 R&D특구육성본부' 등의 기구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어 퍽 고무적이다.

우리는 과기부 장관의 부총리 승격을 앞두고 마련된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NIS 로드맵을 주목한다. 과기 부총리는 앞으로 과기정책 수립과 집행은 물론 국가 R&D 예산배분체계 개선, 과학기술행정체계 개편, 이공계 공직 진출 확대 및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과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하여 가시적 성과 도출의 주도 역할을 하는 만큼 추진력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본다. 대덕 R&D특구 지정 및 운영과정에서도 부총리의 역할이 기대되는 만큼 대전시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는 필수적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