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발전硏 '行首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

행정수도를 충청권으로 이전할 경우 전국은 권역별로 특성화된 육각형(헥사곤) 네트워크 국토축이 형성돼 국가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신행정수도 충청권 건설 이후 중부권의 성장 효과는 2030년까지 152조 7900억원에 달하고 국가적으로는 72조 4300억원의 경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3면

대전발전연구원이 30일 발표한 '신행정수도 건설에 따른 영향과 대응방안'이란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행정수도 이전에 따라 국토는 행정수도를 중심으로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제주권, 영남권, 강원권 등 권역별로 특성화된 육각형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또 남해안과 서해안, 동해안 축으로 구성되는 거대한 π(파이)형 국토축이 구축돼 유러시아와 환태평양 진출이 용이한 신국토 골격을 갖추게 된다.

경제 효과로는 중부권은 신행정수도 건설이 본격 시작되는 2007년부터 건설이 완료되는 2030년까지 총 152조 7900억원의 성장 효과가 발생하고 수도권 및 영·호남권은 다소 줄지만 국가 전체 적으로는 72조 4300억원의 성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 내 총생산 성장률 역시 중부권은 2030년까지 5조 5200억원이 발생하고 전국적으로는 29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는 2015년까지 29만 7125명(수도권 23만 6575명 감소)이 충청권으로 유입되고, 2025년까지는 50만 2591명(〃 39만 6237명 감소), 2030년까지는 65만 1552명(〃 51만 3245명 감소)이 유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행정수도와의 도시 발전축 연계를 위해 서남부생활권을 업무기능과 전시·교류기능, 산업·정보교류기능을 부각시킨 슈퍼도시(Super City)로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대전발전연구원은 주장했다.??

이와 함께 대전발전연구원은 신행정수도 건설 기간 중 개발압력 증대와 청주와의 연담화 현상 등 대전 서북권역의 무질서한 난개발이 우려된다며 '우산봉∼수양산∼용바위 고개∼용산동(유성)∼장동(대덕)∼계족산'으로 이어지는 우산형 생태라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