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김성일 교수

? ?
?
“산림정책과 관련해 북한이 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며 이런 변화에 대해 국내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성일 서울대 교수는 북한 산림지원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북한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산림은 1990년도 70%가 숲이였는데 지난해 47%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1년에 1%씩 숲이 사라질 정도로 사막화의 대표적인 나라로 꼽힌다.

그러나 북한의 경우 식량난 등으로 산림을 훼손한 뒤 다락밭 등 농경지로 개간했지만 실제 21% 이상의 숲이 사라진데 반해 늘어난 농지는 4% 수준에 머무르는 등 나머지 17% 이상은 황폐화한 땅으로 변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문제는 이런 실상 자체를 북한 내 산림공무원들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김 교수는 “지난해 북한 내 큰 홍수로 500여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산림 황폐화에 따른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북한 내 홍수나 가뭄 등은 '자연재해'라기 보다 '인재'에 가깝고, 북한의 경우 기상대책 시스템이 거의 없어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지난 대규모 홍수가 발생한 이후 외신을 통해 북한 내 소식들이 비교적 빨리 전파됐고, 곧이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이 지원을 결정하는 등 여느 때와 달리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하는 북한의 움직임이 달라졌다는 데 주목했다.

김 교수는 “김정은 체제 이후 산림보호와 복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얘기들이 북한 내 매체를 통해 전해지는 등 국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며 “특히 자연재해와 산림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 상황에서 북한도 도움을 청할 준비가 돼 있고, 정부 역시 북한에 대한 산림정책의 변화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각종 민간단체나 임업진흥원, 산림조합 등으로 산재된 북한 지원체계를 통합하고, 전담기구 신성이나 산림협력 창구를 일원화 해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김 교수의 의견이다.

그는 “현재 정부차원의 지원은 통일부가 모든 것을 주도하고 주무 부처인 산림청은 기술 자문 형식의 성격이 짙다"며 "산재된 지원체계를 정비하고 연속성 있는 협력사업이 진행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