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가파식 네거티브 공방 속에 멍드는 표심… 정치불신 부추겨 판단은 오로지 유권자의 몫이다

이틀 후면 향후 5년 동안 대한민국을 이끌고 나아갈 새 대통령을 뽑는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간 초박빙 양강 구도가 구축돼 있는 터라 누가 국민의 부름을 받게 될 건지 예측하기 힘들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대선 막판 국면이 전개되고 있다. 이번 대선의 막중한 헌정사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혼탁 양상의 폐해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대선 여론조사 공표 시한 마지막 날(12일 조사분) 판세를 보면, 박 후보의 박빙 우세로 요약할 수 있지만 거기에 과학적 신뢰성을 전적으로 부여하기 힘들다. 그 격차가 대개 오차범위의 것이어서 오히려 판세의 흐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뭔가 표심 밑바닥에서 꿈틀거리는 게 있는 듯하다. 전통적인 변수로는 세대, 이념, 지역 기준으로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박 후보 지지층이 5060세대 이상, 보수, 영남을 중심으로 일찌감치 견고한 결집력을 보이고 있고, 문 후보 지지층도 2030세대, 진보, 호남 중심으로 뭉치는 분위기를 감지할 수 있다.

박-문 후보가 앞 다투어 수도권과 2040세대를 집중 공략하고 나섰다. 그들의 투표성향과 투표율이 변수다. 2002년 대선 당시(전체투표율 71%) 20대와 30대 투표율이 각각 57%, 67%이었다. 10%선에 이르는 신부동층 끌어안기 전략 또한 치열하다. 안철수 변수와 연계된 사안이다. 안 전 후보가 엊그제도 문 후보 유세장에서 힘을 실어줬듯이 문-안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 같다.

충청권은 전국 인구대비 10%에 불과하지만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보트를 행사해왔다는 점에서 주요 전략지역으로 꼽힌다. 박 후보가 초반엔 문 후보에 15%포인트 정도 앞섰으나 공표 시한 마지막 날 기준으로 보면 미묘한 흐름이 읽힌다. 민주통합당은 그 차이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는 판단아래 막판 역전을 기대하는 눈치다. '여촌야도'라는 충청권의 역대 투표행태가 재현되고 투표율이 70%를 넘어 설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번 대선의 특징은 조직을 동원한 세 대결로 압축할 수 있다. 박-문 후보 진영이 보수와 진보 구도로 재편, 지지세 모으기에 주력해왔다. 이념의 잣대 아래 각 진영에 여러 직능단체나 사람들이 모이기도 하지만 한때는 한솥밥을 먹던 세력들이 국민통합이라는 명분 아래 각기 다른 진영에 영입돼 '변절자' 논란을 빚는다. 오로지 표심을 끌어 모으기 위한 과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다가는 바람 선거, 묻지마 선거로 변질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새 정치를 열망하는 시대정신과 정면으로 어긋난다. 감성적인 전략이 판을 칠수록 투표의 주요 기준인 공약이나 정책, 비전 따위는 뒷전으로 밀려나게 마련이다. 그 자리에 네거티브가 성행한다는 건 정치 불신을 부추기는 작태다.

민주통합당이 제기한 '국정원 선거 개입의혹', 선관위가 검찰에 고발한 '새누리당 불법댓글 부대 의혹'을 어떻게 볼건가. 표면상으로만 보면 민주주의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구태이자 중대 사안이다. 하지만 실체적 진실을 검증하기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

이밖에도 요즘 박-문 후보를 겨냥한 출처불명의 막가파식 폭로, 흑색선전과 비방전이 트위터·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넘쳐난다. 여야 간 소모적인 난타전이 어디까지 갈 것인지. '밀리면 끝'이라는 위기감이 덧칠돼 그야말로 진흙탕 싸움을 방불케 한다.

선거가 끝나더라도 그 후유증을 예단키는 어렵지 않다. 박-문 후보가 제각기 선거 이후 대화합을 선언하기는 했지만 그것 역시 표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우리의 미래를 보듬을 수 있는 듬직한 후보는 과연 누구인가. 국민을 속이는 후보부터 가려낼 일이다. 오직 판단의 몫은 유권자들에게 맡겨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