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판도 초접전·불확실성 여전
야권 단일화 최대이슈에 파묻혀 정책실종… 감성전략 치중해서야

대통령선거 70여일을 앞두고 대선 판도가 요동을 치면서 긴장감을 더해주고 있다. 각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박근혜(새누리당), 문재인(민주통합당), 안철수(무소속) 대선후보의 지지율이 초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추석 연휴 기간 중 일단 걸러진 민심이 앞으로 어떤 추이를 보일건지 초미의 관심사다.

특정인의 대세론을 점칠 수 없는 지형이다. 박 후보-안 후보 양자 대결시 대체로 안 후보가 여전히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박 후보가 추석 전보다 그 격차를 좁히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 박 후보-문 후보 양자대결 역시 박빙의 구도다. 그간 충청지역에서 우세를 보여 온 박 후보로선 비상이 걸린 형국이다.

그러나 어느 때든 지형 자체가 뒤흔들릴 가능성이 상존해 있다. 중도무당파가 그 위력을 과시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유권자 성향은 보수 30%, 진보 30%로 팽팽한 반면 중도·무당파는 40%로 분류돼왔다. 선거 때마다 무당파와 중도층 움직임을 특히 주시하는 이유다. 이들을 끌어안아야 선거에서 이길 수 있다.

그들은 종전엔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중도적인 성향을 보였으나 요즘에는 특정 이슈에 따라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특성을 드러낸다. 여야 고정 지지층이 결집돼 있는 반면,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10%를 보인다는 건 이를 방증한다. 근소한 표 차이로 당락이 판가름 날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지닌다.

이번 추석민심에서도 확인됐듯이 최대 이슈는 '야권 단일화' 문제다.

대선판도를 뒤흔드는 블랙홀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단일화 불발과 함께 3자구도로 갈 여지도 없지 않다. 각 후보마다 유리한 고지 확보를 위한 셈법에 분주하다. 18대 대선의 특징으로는 어느 때보다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대선 국면이 이상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각 후보 간 정책 경쟁은 뒷전이다. 그나마 내놓은 정책이라고 해봐야 빈약하기 그지없다. 큰 줄기만 애드벌룬으로 띄워 놨을 뿐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없다. 경제민주화, 정치쇄신, 복지, 평화 등의 구호만 요란하다. 유권자 입장에서 보면 각 후보의 공약에서 차별성을 찾기 힘들다. 안 후보는 어제서야 정책 비전을 발표했다. 적어도 공약만을 기준으로 후보를 선택할 수 없다는 건 아이러니다.

어느 후보를 막론하고 유권자를 겨냥한 감성정치, 이미지 전략에 몰두하고 있다는 건 우려할 대목이다. 후보들이 시장, 고시원, 병원, 소방서를 찾는다고 해서 서민 대통령 감으로 인정해주지 않는다.

요즘엔 후보 간에 인물 영입 전쟁이 점입가경이다. 후보 정체성과의 적합성 여부는 따지지도 않는다. 특정인사 모시기에 나섰다가 실패하는 사례도 속출한다. 사회통합·화합 명분 축적 과시용이라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다.

각 후보에 팽배해지고 있는 위기론과 무관치 않다. 새누리당이 '친박계 인사 2선 후퇴론'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박 후보 대세론이 붕괴된 데 따른 인적 쇄신책이다.

결국 박 후보 비서실장인 최경환 의원이 어제 사퇴했지만 친박 '사당화(私黨化) 논란'은 잠복돼 있는 상태다. 문 후보 캠프의 '탈(脫)친노', 안 후보 캠프의 아마추어 논란도 불식돼야 한 사안이다.

대선에 임하는 후보들의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정책 대결의 장을 마련해야 하는 데 주저할 이유가 없다. 그게 유권자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 후보의 자질과 도덕성, 정책 및 비전 그리고 이를 실현할 만한 통찰력과 리더십을 끊임없이 검증하는 건 유권자의 몫이다.

이를 조금이라도 간과할 경우 그 결과는 국민이 지는 수밖에 없다.

대통령을 뽑아놓고 나서 후회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우리나라를 앞으로 5년 동안 이끌고 갈 적임자가 누구인지 일거수일투족도 놓치지 않고 주시하자. 그리고 엄중하게 평가하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