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재정지원 제한대학 발표로 대학가의 표정이 엇갈리고 있다. 소위 부실대학으로 지칭되는 재정지원 제한대학 명단에 오른 대학은 충격에 빠진 반면 명단제외 대학들은 자축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정부는 전국 300여개 대학들을 대상으로 상대평가 방식을 거쳐 점수가 낮은 하위 15% 대학을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학들로서는 이런 평가방식에 불만을 제기하고 있으나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정부 재정지원금을 받을 수 없는 43개 대학 명단이 엊그제 발표됐다. 우리 지역 몇몇 대학도 여기에 포함됐다. 이들 대학들은 내년 1년 동안 재정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학자금 대출제한 대학도 있다. 정부는 동시에 지난해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선정된 대학 가운데 자구노력을 기울인 대학들은 부실대학 명단에서 제외했다. 재정지원 제한대학 43곳 중 22개 대학이 드디어 부실대학의 오명에서 벗어난 것이다.

지역대학들 중 대전대 목원대 중부대 등이 부실대학이라는 꼬리표를 뗀 건 환영할 일이다. 대전대는 2012학년도 정부 재정지원 사업 관련 대학평가에서 자구노력 모범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우리는 이들 대학이 어떻게 부실대학 명단에서 벗어날 수 있었는지를 주목하고자 한다. 대전대는 사학진흥재단 경영컨설팅을 받아가며 강도 높은 구조개혁을 단행했다. 과감한 재정투입이 뒷받침 됐음은 물론이다. 목원대는 국내 대학 최초로 입학정원을 대폭 감축하는가하면 교원확보율을 끌어올렸다. 중부대 역시 법인의 법정부담금을 100%이상 출연하고 장학금 수혜율도 대폭 높였다.

이렇듯 부실대학에서 벗어난 대학들은 공통점이 있다. 과감한 재정투입, 학과 구조조정, 재학생 충원율과 취업률 향상 등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 대학 구성원들의 헌신적 자구노력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성과를 도출해냈다. 부실대학 퇴출 제도가 없었던들 여러 대학들은 현실에 안주하며 허송세월을 보냈을 것이다. 이런 면에서 이들 대학들은 예방주사를 제대로 맞았다고 할 수 있다.

부실대학으로 낙인이 찍히지 않는 게 최선책이지만 부실대학으로 선정됐다면 하루 빨리 벗어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부실대학에서 탈출한 대학과 여전히 부실대학이란 오명을 뒤집어 쓴 대학과는 분명 차이점이 있다. 대전대 목원대 중부대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