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밸리 내 외국인학교 건립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대전시와 대덕테크노밸리가 2006년 개교를 목표로 대덕테크노밸리 내 1만평의 부지에 외국인학교를 설립키로 하자 대전시교육청이 공교육 역행 처사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교육시장 개방에 대한 준비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개방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 교육청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교육시장 개방을 언제까지 미룰 수도 없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외국인들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은 대덕 R&D특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외국기업 유치에 상당한 탄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녀교육 여건은 근무지 선택의 최우선 사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무리 외국인 전용단지와 대덕테크노밸리를 훌륭히 닦아 놓은들 이에 수반되는 교육시설이 없다면 외국인들이 발길을 돌릴 게 뻔하다. 이미 인천 경제자유구역 내 송도신도시에 2008년까지 미국의 명문사립학교를 유치하는 방안이 발표된 터다. 발빠르게 움직이지 않으면 뒤질 수밖에 없다.

교육 개방은 세계적인 추세다. 경쟁을 통한 국내 교육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딜레마에 빠져 있는 우리 교육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교육시장을 개방한 일본, 중국, 싱가포르, 대만 등 이웃 국가들도 자국의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데 교육 개방이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물론 교육시장 개방이 교육과열을 부채질하고 계층간 위화감을 조성하는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내국인 입학을 허용함으로써 '귀족학교'로 변질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관건은 내국인 입학의 투명성 확보다. 내국인 학생 선발비율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도출해내야 할 것이다. 내국인 학생 선발 비율을 40%로 제한한 송도의 경우를 참고해 볼 만하다. 이제 교육시장 개방은 대세다. 다만 부작용을 어떻게 최소화하느냐가 과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